"美연준, 물가 잡기 위해 '임금-물가 악순환' 차단에 집중할 듯"
미국인 52% "내년 경제 나빠질 것"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임금 비중이 큰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임금-물가 악순환' 차단에 가장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18일(현지시간) 연준이 내년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기조 유지 방침을 밝힌 가운데, 미국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률이 내년 연준 통화정책의 핵심 지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를 4.25∼4.50%로 0.5%포인트 올린 지난 1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현재 임금 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인 2% 물가 상승률과 양립하는 수준보다 훨씬 높다"고 밝혔다.
연준의 통화긴축 정책은 물가와 임금이 계속 서로를 견인하며 연쇄 상승하는 악순환 위험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달 연설에서 상품, 주거비용, 주거 이외의 기타 서비스 등 세 가지 부문의 물가를 관찰하고 있다면서 이 가운데 기타 서비스 물가가 근원 인플레이션(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식료품 물가 제외) 상승 압력을 잘 반영한다고 평가한 바 있다.
파월 의장은 연설에서 기타 서비스 부문은 보건·교육에서부터 이발·숙박업 등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비용에서 인건비 비중이 높다면서 "이 부문의 인플레이션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를 노동시장이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이와 관련, 지난 1년 반 동안의 미국 임금 상승이 일시적인지, 혹은 물가와 임금이 상호 작용하며 연쇄 상승하는 악순환인지 판단하는 게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이후 노동력 부족으로 노동자들의 협상력이 올라갔지만 대부분의 경우 치솟는 생활비를 따라잡는 수준의 임금 상승이 이뤄졌을 뿐이라면서, 실질임금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어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연준이 노동자들의 일자리 복귀에 따른 인력 수급 균형 회복을 기다리기보다는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경기와 고용을 둔화시키고 실업을 늘리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기후퇴 없이 노동 수급 균형을 되찾는 게 가능할지는 불확실하다.
연준은 이번 달 전망한 내년 경제성장률(0.5%)과 실업률(4.6%)이 실제로 실현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2025년에야 점차 2%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다가 기타 서비스 부문의 인플레이션을 주도한 것은 임금 상승이 아닌 운송비와 의료비라는 시장 일각의 지적도 나온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이러한 가운데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3∼7일 미국 유권자 759명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내년 미국 경제가 '나빠질 것'(52%)이라는 응답이 '좋아질 것'(25%), '현상 유지'(18%) 의견보다 많았다고 전했다.
미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은 공화당(83%)과 민주당(22%) 지지층 간 편차가 컸다.
또 생활비 상승이 가계 살림의 주요한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견해는 35%였고, 연준에 대한 평가는 '부정'(40%)이 '긍정'(36%)을 앞섰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