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상환부담비율 1%p 오르면 가구소비 0.37% 줄어
고부채-저소득·무주택자 가구 소비 더 크게 제약받아
한은 "가계부채 관리, 금융·경기 안정화에 기여"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금리 상승으로 인해 가계의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p) 상승하면 가계소비는 평균 0.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소비 제약은 취약계층인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非)자가 가구에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 오태희·이규환 과장과 남명훈·이재운 조사역은 7일 '금리상승 시 소비감소의 이질적 효과 : 가계 특성별 미시자료를 이용한 소비제약 분석'(BOK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미시데이터인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 원리금상환비율(DSR)과 부채소득비율(DI) 변화에 따른 소비제약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DSR이란 가구소득 대비 채무에 대한 원리금상환액 비율을 말한다. 이를 통해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가늠할 수 있다.
DI는 가구소득 대비 부채잔액 비율을 뜻한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DSR 상승에 따른 소비감소 효과는 가계 특성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DSR이 1%p 상승하면 가계소비는 평균 0.37% 감소했다.
DSR 상승은 취약계층인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자가 가구 소비를 특히 제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DSR 1%p 상승시 소비는 0.47% 줄어 전체 가구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고부채-고소득 가구 역시 같은 조건일 때 소비가 0.46% 감소해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으면(하위 30% 이내) 필수적 소비 비중이 큰 만큼 소비위축의 충격은 고부채-저소득 가구에서 더 크다는 설명이다.
부채 수준을 감안하지 않고 소득 기준만 적용하면 DSR 1%p 증가시 저소득 가구 소비는 0.28% 줄지만 중(소득 상위 30∼70%)·고소득(상위 30% 이내) 가구는 0.42%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 비중이 높아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면 소비를 조정할 여력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부채 및 주택소유별 분석에서는 고부채-비자가 가구는 DSR이 1%p 오르면 소비가 0.42% 줄었다.
고부채-자가-고부담(DSR 20% 이상)의 0.40%, 고부채-자가-저부담(DSR 20% 미만)의 0.25%, 비고부채-비자가의 0.13% 등에 비교하면 고부채-비자가 가구의 소비위축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DI의 경우 가계부채가 과도해 DI가 200% 이상인 경우 DI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면 소비 역시 감소했지만 200% 미만에서는 DI가 상승하더라도 가계부채 증가분의 일부를 사용하면서 소비가 증가하는 비선형성이 관측됐다.
특히 DI가 높은 상태(200% 이상)에서는 DI의 추가 상승으로 인해 고부채-저소득 가구의 소비감소 효과가 여타 가구보다 큰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향후 가계의 금융부담이 가중될 경우 고부채-저소득 등 전형적인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이 금융안정뿐만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dhis9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