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빚 9천만원 넘어…'갭투자' 29세 이하 증가율 1위

입력 2022-12-01 12:00
수정 2022-12-01 17:37
가구당 빚 9천만원 넘어…'갭투자' 29세 이하 증가율 1위

평균 부채 9천170만원, 전년 대비 4.2%↑

금융부채 보유 가구 64.4% "원리금 상환 부담"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가 9천만원을 돌파했다.

전세를 끼고 집을 매매하는 이른바 '갭투자'에 나선 29세 이하 청년층에서의 빚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자들의 부채 증가율도 높았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은 전국 2만 표본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 가구 평균부채 9천170만원…부채 보유 가구 63.3%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70만원으로 전년(8천801만원) 대비 4.2% 증가했다.

이 중 금융부채는 전년보다 4.4% 증가한 6천803만원, 임대보증금은 3.6% 늘어난 2천367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부채는 담보대출 5천381만원, 신용대출 1천8만원, 신용카드 관련 대출 71만원 등이었다.

금융부채 비중은 전체 가구 빚의 74.2%를 차지했다.

부채가 있는 가구 비율은 63.3%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감소했다.

부채 보유액 구간별로는 1억1천만~2억원 미만의 부채를 보유한 가구 비율이 16.5%로 가장 높았다. 부채 보유액이 3억원 이상인 가구는 12.4%였다.



◇ 20대·50대 빚 '급증'…자영업자 부담도 증가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15세 이상의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구)의 부채가 41.2% 급증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29세 이하의 경우 금융부채를 얻어서 전세 등 보증금을 끼고 집을 매매한 몇 가구가 발견됐다"며 "이러한 특성이 증가율에 반영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임 복지통계과장은 "29세 이하 가구의 경우 표본 수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0대(6.8%), 60세 이상(6.0%)의 장년·노인층에서의 부채 증가율도 두드러졌다.

가구주 연령대별 부채 보유액으로 보면 40대가 1억2천328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1억1천307만원)와 50대(1억763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빚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29세 이하의 부채 보유액은 5천14만원이었다.

종사자 지위별로는 자영업자의 평균 부채 증가율이 4.4%로 가장 높았다.

상용근로자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3.3%, 기타(무직 등)는 4.1%로 집계됐다.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2.1% 감소했다.

종사자 지위별 부채 보유액 기준으로도 자영업자 가구가 1억2천38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의 임대보증금 비중은 21.0%를 차지했다.

소득분위별 평균 부채를 보면 최상위층인 5분위가 2억637만원로 가장 많았다. 이는 1분위 가구 부채(1천716만원)에 비해 12배 많고, 전체 가구 부채의 45%를 차지하는 것이다.

부채 증가율로 따지면 3분위가 6.5%로 가장 높았다. 반면, 1분위는 2.2% 감소했다.

입주 형태별로는 전세 가구의 평균 부채가 1억1천76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부채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1억1천972만원), 인천(9천566만원), 세종(1억4천82만원), 경기(1억1천863마원)으로 집계됐다.



◇ 금융부채 보유 가구 64% "상환 부담"…금리 상승에 향후 부담 가중

전체 가구의 57.3%가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평균 금융부채는 1억1천879만원이었다. 소득은 7천357만원, 자산은 6억251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다만 금융부채 보유 가구가 체감하는 상환 부담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 비율은 64.4%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감소했다.

'대출 기한 내에 갚을 수 있다'고 응답한 가구 비율도 77.7%로 2.1%포인트 증가했다.

재무 건전성도 개선됐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0.8%포인트 감소한 16.7%이며,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0.9%포인트 감소한 79.6%였다.

그러나 이는 올해 3월 말을 기준으로 작년 3월 말과 비교한 수치들이기 때문에 현재 국민이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차이가 있다.

기재부는 보도 참고자료에서 "최근 금리 상승 및 부동산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현재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이번 조사 결과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작년 하반기부터 증가세가 둔화한 가계대출 증가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취약계층 금융 부담을 완화하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sj997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