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가계저축 늘어 금리인상 효과 약해질듯…5.5%로 올릴수도"

입력 2022-10-31 12:46
"美 가계저축 늘어 금리인상 효과 약해질듯…5.5%로 올릴수도"

"팬데믹 기간 정부 지원금·초저금리로 가계·기업 자금여력 풍부"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기간 미국 가계의 저축액이 크게 늘어난 탓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효과가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내년 초까지 4.6%로 올릴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지만, 일부에서는 이보다 더 높아야 할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차입 비용이 커지고 주가가 내려가기 때문에 가계 지출이 줄어들고 이는 나아가 고용·소득·지출의 추가적인 감소를 불러온다.

그러나 2020년 시작된 팬데믹 기간 정부가 가계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초저금리를 유지해 차입 비용을 줄이는 등의 재정·통화 부양 정책을 한 덕분에 가계 저축이 늘어 이런 흐름이 돌아가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시장은 연준이 이번 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을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다. 그렇게 되면 기준금리는 4%대로 올라서게 된다.

그러나 금리 인상에도 민간의 지출이 줄어드는 정도가 저축 증가로 인해 약해졌기 때문에 최종 금리가 4.6%보다 더 높아야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연준 이코노미스트들에 따르면 작년 중반까지 미국 가계의 저축액은 총 1조7천억달러(약 2천419조원)에 달했다. 이는 이들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의 소득과 지출 증가 추세에 따라 저축했을 금액을 초과하는 것이다.

미국 가계 소득 하위 50% 가구가 보유한 이 같은 초과 저축액은 지난 6월 현재 총 3천500억달러(약 489조원), 가구당 5천500달러(약 728만원)에 이른다.

기업들과 지방정부도 마찬가지다. 2020∼2021년 기업들은 초저금리로 인해 낮은 차입 비용을 유지할 수 있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투기등급 회사채(정크본드) 중 앞으로 1년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분량은 3%뿐이며, 2025년 이전에 만기가 되는 분량도 8%에 불과하다.

주 정부와 지방 정부도 현금이 풍부해 세계 금융위기를 전후한 2007∼2009년보다 훨씬 상황이 낫다.

금리 인상에 민감한 주택 시장만이 침체를 겪고 있을 뿐 소비자들의 신용카드 잔액은 늘고 있다. 유나이티드항공, 뱅크오브아메리카, 네슬레, 코카콜라, 넷플릭스 등 기업들도 강한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을 지적한다.

실제로 미국의 9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전월보다 0.3% 상승해 물가 상승률이 꺾이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근로자에 대한 급여와 각종 혜택을 측정하는 고용비용지수(ECI)도 3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1.2% 올랐다. 이처럼 급여 상승률이 높게 유지된다는 것은 가계가 저축분을 다 써버려도 계속 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연준이 치솟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낸 제이슨 퍼먼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기준금리가 내년에 5.25%까지 이를 것으로 보면서 그보다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스티븐 블리츠 TS롬바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내년에 경기후퇴가 오지만, 연준이 할 일이 많다"며 기준금리가 5.5%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dy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