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대선 D-30] ②'좌파의 길'로 돌아서는 중남미…브라질 선택은
멕시코·아르헨티나·콜롬비아·칠레 등 주요국가들 줄줄이 '좌향좌'
중국의 해외투자 1위 브라질…'미국 뒷마당'에서 이젠 중국 영향권?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정치학계와 언론에서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 중남미 정치 구도를 설명하기 위해 빈번히 썼던 용어는 '핑크 타이드'(분홍 물결)다.
당시 중남미 국가들에서 좌파 정부가 잇따라 들어섰던 변화의 흐름을 지칭하는 표현이었다.
특히 복지와 사회 불평등 해소에 무게 중심을 두는 전형적인 좌파라기보다는 사회·경제적인 진보 정책에 신경을 쓰는 중도 좌파 또는 좌파 성향 정부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완전히 붉은색은 아니라는 취지다.
베네수엘라를 필두로 아르헨티나와 볼리비아 등이 대표적인 핑크 타이드 국가였는데, 이들은 대체로 정치·경제정책에서 미국의 반대편에 서는 특징을 보였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국가가 브라질이었다. 당시 대통령은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시우바로, 그는 2003∼2010년 재임하면서 민간 기업과 글로벌 자본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경제성장을 도모하며 중남미의 좌파 물결을 이끌었다.
2010년대 이후 우파 정권이 득세하던 중남미에서는 2018년 멕시코를 시작으로 다시 좌파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아르헨티나, 페루, 칠레, 콜롬비아의 민심이 잇따라 '좌향좌'로 바뀌면서 잇따라 좌파가 정권을 잡았다.
공약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이들 정부 모두 사회안전망 확대, 빈부격차 개선, 원주민 권리 옹호 등을 골자로 한 정책을 펴고 있다. 페미니즘과 환경보호 등 현대 진보주의 정책을 공유하는 움직임도 보인다.
다만, 이 흐름을 '제2의 핑크 타이드'라고 부르는 것은 섣부르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인구 2억여명의 대국이자 국내총생산(GDP·2021년 2천150조원) 세계 12위로 한국(2천400조원)과 비슷한 규모인 중남미 최대국 브라질 대선이 남았기 때문이다.
'좌파' 전직 대통령 룰라 후보와 '극우 성향' 현직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가 맞대결을 벌이는 브라질 선거에 전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투표함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결과를 장담할 수 없으나, 현재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룰라 후보가 과반 지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지지도에서 10% 포인트 이상 보우소나루 후보를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여론조사 민심이 선거에서 그대로 나타날 경우 브라질 정치·외교·경제·사회 정책에서 큰 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뜻이다.
브라질 대선을 둘러싼 또 하나의 키워드는, 지리적으로 1만㎞ 넘게 떨어진 '중국'이다.
그동안 중남미는 '미국의 뒷마당'으로 통했다.
하지만 과거 핑크 타이드를 틈타 이념적인 동질성을 내세우며 중남미로 약진하기 시작한 중국은 최근 들어서는 무역과 투자 등 경제협력과 코로나19 백신 지원 등을 앞세워 진출 속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브라질의 경우엔 지난해 중국 투자액이 8조원(60억 달러)에 달해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 입장에서도 전 세계 다른 어느 나라보다 브라질에 많은 투자를 했고, 그 비중이 13.6%를 차지했다.
이는 브라질 우파 정권하에서의 교역 실태로, 브라질이 좌파의 길을 걷게 된다면 중국과의 관계가 더 돈독해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대선 결과에 따라 중국이 브라질에 더 적극적으로 '구애의 손길'을 내밀고, 브라질도 이에 화답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실제 카리브해 국가를 포함한 남미 국가의 대중국 교역량은 2000년 13조원(100억 달러)에서 지난해 600조원(4천510억 달러) 규모로 늘어났다고 호르헤 하이네 전 주중 칠레 대사가 최근 홍콩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소개했다.
특히 중국이 중남미에서 공격적으로 광물 자원 확보에 나서는 행보를 고려할 때 철광석, 니켈, 망간, 구리, 금 등이 풍부한 브라질에도 중국 자본이 대거 진출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신재훈 상파울루무역관 과장은 브라질 광물 산업 정보 보고서에서 "(우리 기업 입장에서도) 브라질 광물 및 합금기업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빠르게 공급선을 다변화할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며 "브라질 글로벌 광산기업과 합작투자도 고려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