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면 뭐든"…중국 사찰들 상업화 '도마'

입력 2022-07-25 17:33
"돈 되면 뭐든"…중국 사찰들 상업화 '도마'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난징 대학살 주범인 일본군 전범의 위패 봉안을 계기로 중국 일부 매체가 사찰들의 과도한 상업화를 다시 짚는 보도를 내놨다.



그간 가장 논란이 돼온 곳은 중국 전통무술의 산실로 알려진 허난성 소림사다.

소림사는 오래전부터 출판, 관광기념품·무술용품 판매, 전자상거래 등으로 꾸준히 사업을 확장했다.

1997년 사찰 이름 도용을 막겠다며 별도 회사를 설립한 뒤 2020년까지 '소림 비방(秘方)' 등 소림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상표 666개를 등록하기도 했다.

지난 4월에는 허난성 정저우시 토지 매각 경매에서 4억5천200만위안(약 879억원)에 3만8천㎡ 규모 상업용지 사용권을 따낸 기업에 소림사 지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됐다.

토지를 낙찰받은 업체를 공동 설립한 2개 회사 중 한 곳의 최대 주주가 소림사가 설립한 회사였다.

당시 누리꾼들은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하던 소림사가 부동산까지 진출한다"라거나 "돈이 되면 무엇이든 하려고 한다"는 등 반응을 보였다.

현지 언론 시대재경은 등록된 3만2천여개 사찰 가운데 20% 이상이 다양한 방법으로 돈을 벌어들이며 '상업화'됐다고 소개했다.

베이징, 상하이, 저장성, 허난성, 쓰촨성 지역 유명 사찰들은 입장료 징수는 기본이고 향·초·불상 판매, 위패 봉안, 헌금, 상품 판매 등을 통해 수입을 올리고 있다.

상하이 징안사는 1년 위패 봉안비로 2천위안(약 39만원)을 받는다. 각종 법회 때마다 최고 5천위안(약 97만원)의 참가비를 걷고 있다.

도금한 소형 불상이나 은화 판매 가격은 개당 300만원을 웃돈다.



파먼사는 올해 춘제와 정월 대보름 법회 참가비를 2천 위안(약 39만원)으로 대폭 올려 논란이 됐다.

터무니없이 비싼 향과 초 가격이 논란이 돼 여러 차례 집중 단속을 겪은 이후 사찰들은 법회 참가비, 위패 봉안비를 챙기거나 불상이나 사찰 증축 기왓장을 판매하는 등 뒷말이 나오지 않는 쪽에서 수입을 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4년간 난징 학살 주범인 일본군 전범들의 위패를 봉안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진 난징 쒸안짱 사찰의 주지는 현지 관료들과 친분을 다지며 4개 민간 기업도 운영해왔다.

pj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