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해항 언제 열리나…발묶인 밀 2천500만t 거취에 시선 집중

입력 2022-07-14 10:29
흑해항 언제 열리나…발묶인 밀 2천500만t 거취에 시선 집중

우크라 자구책 역부족…다뉴브 운하에 정체된 선박 130척

세계식량위기 악화…러·우크라 흑해재개방 협상 속도 내는듯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흑해 수출항을 다시 열기 위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협상이 진전을 보는 것으로 전해져 기대를 모은다.

전 세계적으로 식량난이 가중되는 가운데 러시아의 흑해 봉쇄로 발이 묶인 거대한 곡물이 풀리기 시작하면 '가뭄에 단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3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 분석에 따르면 현재 흑해 주변에 묶여 있는 우크라이나산 밀은 2천만~2천5백만t에 이른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의 위협, 우크라이나가 자국 최대항 오데사를 방어하려고 연안에 설치한 대량의 기뢰 때문이다.

올해 2월 24일 전쟁 발발 후 이 지역 해상 수출은 그대로 막혀 유럽을 대표하는 곡창지대 우크라이나의 곡물 대부분이 오도가도 못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시장의 9%를 차지하는 주요 수출국으로 2020년 밀 수출량은 1천800만t에 달한다.

넉 달 이상 지속된 이 같은 공급 차질 때문에 지구촌 식량위기는 고조됐다.

특히 우크라이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중동,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기근 우려까지 제기된다.

우크라이나는 나름대로 자구책을 찾고 있으나 공급을 정상화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바닷길이 막힘에 따라 열차나 트럭으로 곡물을 운송하던 우크라이나는 최근 다뉴브강을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선박 위치추적 회사인 마리트레이스(MariTrace)에 따르면 다뉴브강으로 진입하기 위해 하구에서 대기하고 있는 곡물 선박만 130여척이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던 흑해 요충지 뱀섬을 지난달 말 탈환한 이후 다뉴브강 비스트레 운하도 수출길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전에는 루마니아를 통과하는 술리나 운하를 통해서만 다뉴브강으로 진입할 수 있었는데, 이 운하는 일방통행 노선이어서 화물선이 강을 통과하는 데 몇 주가 걸렸다.

비스트레 운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밀 수출은 일부 숨통이 트였다.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비스트레 운하가 개통된 지 4일 만에 선박 16척이 운하를 통과했다고 전날 밝혔다.



다만 이 운하 역시 대형 선박이 움직일 만큼 크지는 않다.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경로를 통해 월간 수출량을 50만t 늘릴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농업정책국에 따르면 곡물 수출은 3월 20만t으로 급감했으나 4월 160만t, 5월 174만t, 6월 250만t 등으로 점차 늘고 있다.

하지만 6월 250만t은 우크라이나가 바랬던 800만t 수출에는 크게 못 미친다.

전쟁 전 우크라이나가 오데사주 흑해항 6곳을 통해 수출한 곡물만 매달 500만∼600만t이었다.

우크라이나도 비스트레 운하가 흑해를 대체할 수 없다고 보고 흑해 운송 재개 협상에 기대를 걸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날 튀르키예(터키) 이스탄불에서 튀르키예와 유엔이 참여한 가운데 흑해 봉쇄 해제를 위한 4자 협상을 벌였다.

이들 대표단은 곡물 운송을 위한 흑해 항로의 안전보장 조정센터 설립에 합의하고 곡물 수출입 항구에 대한 공동 통제 원칙에도 동의했다.

협상은 이르면 내주 재개될 협상에서 최종 타결될 가능성이 있지만 세부 사항에서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무기 밀수를 막기 위해 선박을 수색할 권리를 달라고 요구했으나 우크라이나는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러시아와의 합의까지 두 걸음 남았다"며 "협상이 마지막 단계에 와 있지만 모든 것은 러시아에 달렸다"고 스페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상황을 설명했다.

전쟁 장기화로 우크라이나의 곡물 생산량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운송의 중요성은 더 커졌다.

지난주에 발표된 미국 항공우주국의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가 올해 2월 24일 침공한 후 우크라이나 농경지의 22%가 러시아 통제하에 들어갔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무차별 폭격으로 농경지를 파괴하거나 농작물을 훔쳐 갔다는 주장을 되풀이해왔다.



withwi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