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회복에 취업자 93만5천명 늘었지만 증가세 둔화 경고등(종합2보)
방역 증가·지방선거 등 겹치며 5월 기준 22년만에 최대폭 증가
증가폭 절반 60세 이상…숙박·음식업 증가세 전환, 3만4천명 늘어
"성장·물가 등 하방 요인 점차 커져"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박원희 기자 = 5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90만명 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으로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일상회복에 따라 서비스업 고용이 호전된 데다 오미크론 방역 인력과 지방선거 등 특이요인이 결합된 결과다.
이런 흐름은 점차 둔화할 것으로 보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작년 고용 회복 흐름이 기저로 작용하는 가운데 성장·물가 등 거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 취업자수 93.5만명↑…지방선거 등 일시적 요인도 영향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48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93만5천명 늘었다.
이는 5월 기준으로 보면 2000년(103만4천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증가다.
증가 폭은 취업자 수가 100만명 넘게 증가했던 올해 1월(113만5천명), 2월(103만7천명)에 비해서는 줄었지만, 3월(83만1천명), 4월(86만5천명)보다는 늘었다.
모든 연령대에서 취업자가 늘었으나 특히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은 45만9천명이 증가했다.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49%가 60세 이상이다.
이어 50대(23만9천명), 20대(18만5천명), 40대(3만6천명), 30대(6천명) 순이다.
업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7만8천명), 공공행정(9만9천명) 취업자가 늘었다. 정부가 세금을 투입한 직접 일자리 사업과 관련된 업종인데 오미크론 유행에 따라 늘어난 방역 인력도 여기에 포함된다.
지방선거 영향으로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취업자도 4천명 증가했다.
배달원을 포함한 운수·창고업(12만명), 농림어업(12만2천명)에서도 취업자가 증가했다.
대표적 대면 서비스 업종인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3월(-2만명), 4월(-2만7천명)의 감소세를 끊고 3만4천명 늘었다. 일상 회복에 따라 대면 소비가 살아난 영향이다.
다만 도·소매업(-4만5천명)과 금융·보험업(-3만9천명) 취업자는 감소했다. 도·소매업은 무인점포와 키오스크 등의 확산으로 취업자가 줄어드는 추세다. 금융·보험업 역시 비대면 전환과 점포 축소 등으로 취업자가 줄고 있다.
◇ 실업률, 2013년 이후 5월 기준 최저치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90만명, 임시근로자가 7만9천명 늘었고 일용근로자는 9만1천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6만5천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5천명 각각 증가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6만4천명 줄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10만2천명 늘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3만9천명 줄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8시간으로 0.3시간 증가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0%로 작년 동월 대비 1.8%포인트 올라 동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실업자 수는 88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25만9천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0%로 1.0%포인트 떨어지며 동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87만1천명으로 1년 새 48만명 줄었다.
쉬었음(-22만1천명), 재학·수강 등(-14만3천명), 육아(-10만2천명), 가사(-8만6천명) 등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는데, 연로(22만7천명)에서는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2만4천명으로 18만8천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 정부 "앞으로 취업자 증가세 둔화"
5월 고용시장이 이처럼 좋았던 것은 코로나 일상회복이 서비스업 전반에 훈풍을 불어넣은 가운데 지방선거 등 특이요인이 결합됐기 때문이다.
기재부 김승태 정책기획과장은 "올해 5월까지 고용은 작년 초의 기저, 코로나19 영향(방역인력 증가 및 일상회복), 직접 일자리 사업 조기집행 등 영향을 받아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통계청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은 "일상 회복에 따른 대면 업종 개선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해 고용 증가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앞으로 상황에 대해선 점차 비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작년 하반기에는 고용이 좋았기 때문에 기저효과가 소멸하고 코로나 방역 인력 수요는 줄어들고 있으며 직접 일자리 사업도 종료된다.
김승태 과장은 "성장·물가 관련한 대내외 불확실성 등까지 고려할 경우 고용 증가세는 둔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