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2차발사 D-3]③성공시 고도화 작업…5년간 4번 더 발사
3단 연소 끝나고 5초 뒤 성공 여부 판단 가능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오는 15일로 예정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가 성공하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본격적으로 발사체를 고도화하고 그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항우연 장영순 발사체책임개발부장은 지난 10일 온라인 설명회에서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이미 착수했으며 2차 발사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항우연에 따르면 고도화 사업의 주된 내용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누리호를 4차례 더 발사해 발사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투입되는 사업비는 6천873억여원이다.
내년 상반기 차세대 소형위성 2호 등, 2024년 초소형위성 1호 등, 2026년 초소형 위성 2∼6호, 2027년 초소형 위성 7∼11호 등을 발사하는 것으로 예정돼 있다.
정부는 고도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사체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우주발사체 분야의 '체계종합기업'을 육성할 예정이다.
항우연은 이미 다음 누리호 발사를 대비해 '예비 호기'로 세 번째 누리호를 제작하고 있다.
장 부장은 "현재 3호기에 대한 단별 조립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누리호 2차 발사가 성공한다면) 예비 호기는 고도화사업 1호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누리호 2차 발사의 성공을 가르는 기준은 누리호 3단이 목표한 고도 범위에 들어왔는지다. 누리호의 목표 고도는 700㎞의 저궤도다.
장 부장은 "3단 연소가 수행된 뒤 5초 후 판단한 궤도에 대한 정보로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며 "누리호의 목표 고도가 700㎞이고 궤도 오차는 5%로 두기 때문에 35㎞ 오차 내(665∼735㎞) 고도에 들어오면 누리호는 성공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성능검증위성에서 보내주는 GPS 궤도 데이터를 받아서 다시 한번 추가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누리호 발사에 성공한다면 우리나라는 독자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해 국가 우주개발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다고 평가받게 된다.
발사체 개발 기술은 국가 간 기술이전이 엄격히 금지된 분야로, 현재 자력 발사 능력을 갖춘 국가는 러시아, 미국, 중국 등 9개 국가다.
이 중에서도 1t 이상의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국가는 6개에 불과해, 우리나라가 이번 발사에 성공한다면 7대 우주 강국의 반열에 오른다.
누리호 개발진은 2차 발사를 목전에 두고 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면서도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장 부장은 "여러 번 조립하고 발사를 수행하며 경험이 쌓이는 걸 느낀다"며 "실제 조립과정이나 시험 과정에서 점점 문제가 없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어느 정도 준비가 제대로 돼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발사체 발사라는 게 항상 예기치 못한 부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 그런 부분을 없애거나 최소화할지에 대해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zer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