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늘리기에 어려움 겪는 러 극동 해법 마련 안간힘

입력 2022-05-30 15:14
인구 늘리기에 어려움 겪는 러 극동 해법 마련 안간힘

젊은층 이탈에 노동력 부족 심화…각종 유인책 안 먹혀

국제사회 제재받는 '북한 노동자' 활용 목소리도 나와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최수호 특파원 = 낙후한 산업과 기반시설 등으로 오랜 기간 인구 늘리기에 어려움을 겪는 러시아 극동 지역들이 해법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인구가 좀처럼 늘지 않는 상황에서 젊은층마저 빠져나가자 부족한 노동력을 채우기 위해 국제사회 제재를 받는 북한 노동자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낮은 임금·불확실한 전망으로 젊은층 유출

러시아 극동 매체들에 따르면 한때 극동연방관구의 행정수도가 위치했던 하바롭스크주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 젊은층 인구 유출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당국은 새 일자리 창출을 위해 어업, 광업, 건설 등 분야에서 9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지만 젊은층이 떠나는 탓에 사업에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젊은이들의 지역 이탈을 부채질하는 요소로는 낮은 수준의 임금과 불확실한 전망 등이 꼽힌다.

하바롭스크주 고등학생 상당수도 대학교육을 마친 뒤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까 봐 상대적으로 여건이 나은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서부 대도시 지역 대학들로 진학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사회학자 유리 베레주츠키는 "올해 졸업 예정인 지역 고등학생 가운데 하바롭스크주에 있는 대학에 진학할 학생은 50%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절반은 지역을 떠날 예정이거나 아직 진로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하바롭스크주에서는 주의회 의원과 청년, 대학 대표 등이 모여 젊은층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난상 토론을 벌였다.

주의회는 이날 나온 각종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주 정부에 전달했다.

인구 늘리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인근 연해주도 마찬가지다.

연해주 정부는 지역 인구 유입 등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시 인근에 인구 100만 명 이상 규모의 신도시 '스푸트니크'를 짓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은 오는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릴 제7차 동방경제포럼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 극동 인구 문제는 오랜 고민거리…유인책 안 먹혀

인구 문제는 극동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 요인 가운데 하나로, 러시아의 오랜 고민거리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모스크바 등 서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낙후한 극동·시베리아 개발에 관심을 보여왔다.

이는 푸틴 대통령 집권 3·4기(2012~2024년) 정책의 주요 과제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러시아 정부는 극동 지역 개발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6년 토지 무상 분배 법안을 마련했다.

극동 지역 거주민이나 이주민들 가운데 희망자들에게 캄차카주, 연해주, 하바롭스크주, 아무르주 등에 있는 지방 정부 및 국가 소유 토지 1ha씩을 무상으로 나눠주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각종 유인책에도 불구하고 극동 지역으로 이주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 인구 늘리기 정책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극동 지역 면적은 러시아 전체의 41%인 695만㎢로 한반도 면적의 32배에 달한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으로 극동 지역 인구는 러시아 전체 인구의 5.6% 정도인 812만 명에 불과하다. 이는 1990년대 초반과 비슷한 수준이다.

우리 교민이 많이 사는 극동 최대 인구 밀집 지역인 연해주의 경우 전체 거주 인구가 187만7천여 명 정도다.

인구 규모가 두 번째인 하바롭스크주 거주 인구는 131만5천여 명으로 나타났다.



◇ 국제사회 제재받는 '북한 노동자' 활용 목소리도

이처럼 러시아 극동이 넓은 영토에 비해 부족한 인구와 인구 고령화 등으로 지역 개발에 필요한 노동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자 현지에서는 벨라루스를 포함한 옛 소련국가나 동남아시아 등에서 대체 인력을 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제사회 제재로 실현 가능성이 낮지만, 북한 노동자들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예전부터 러시아에서는 숙련도가 높은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2017년 12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해외 북한 노동자들을 2019년 말까지 모두 송환시키도록 한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면서 상황은 변했다.

2018년 초까지만 해도 연해주, 하바롭스크주 등 극동 지역을 포함한 러시아 전역에서는 약 3만7천 명의 북한 노동자가 건설·벌목·농업·어업 등 분야에서 일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유리 아브데프 러시아 과학원 태평양 지리연구소 극동지부 수석 연구원은 극동 매체 프리마메디아 인터뷰에서 "국제사회 제재로 북한 노동자들이 해외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없다"며 "러시아가 제재에 동의하지 않고 북한 노동자를 극동으로 부를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su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