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오픈랜 기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검증

입력 2022-05-25 09:00
LGU+, 오픈랜 기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검증

"기지국서도 휴대전화처럼 원하는 기능만 실행"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LG유플러스[032640]는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 O-RAN)의 핵심이 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랜 지능형 컨트롤러'(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RIC)의 기술검증을 했다고 25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설명에 따르면 오픈랜은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다른 제조사 장비 사이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표준기술이다.

오픈랜의 구성 중 이번에 검증한 RIC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활용해 무선 접속망 장비의 기능·운영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개별 기지국의 소프트웨어도 원하는 기능만 골라 실행할 수 있다"면서 "휴대전화에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처음인 이번 RIC 기술 검증은 미국 클라우드·네트워킹·보안 솔루션 기업 주니퍼 네트웍스와 협력해 이뤄졌다.

LG유플러스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이번 RIC 검증을 통해, 기존의 기지국 장비 제공업체가 아닌 여러 업체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으로도 기지국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실증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향후 5·6세대 이동통신(5G·6G) 기지국도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는 검증 결과에 따라 국내외 다양한 통신장비 관련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며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측면에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다가올 6G 시대에 오픈랜이 국내 산업에도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하도록 적극적으로 선행 연구를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