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취업자 86만5천명 증가…60세 이상·직접 일자리 비중 커(종합2보)

입력 2022-05-11 10:06
수정 2022-05-11 10:07
4월 취업자 86만5천명 증가…60세 이상·직접 일자리 비중 커(종합2보)

취업자 수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제조업 고용도 호조

대면서비스업은 여전히 냉기…숙박·음식업 2만7천명↓·도소매업 1만1천명↓

1∼17시간 단기 근로자 8만3천명↑…"향후 고용은 증가세 둔화 가능성"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박원희 기자 = 4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80만명 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으로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다만 일자리 증가분의 상당 부분은 60세 이상 고령층, 직접일자리 등 공공부문 일자리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고용은 호조를 보였으나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업 고용은 여전히 어려운 모습이다.



◇ 취업자 86만5천명↑, 4월 기준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07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86만5천명 늘었다. 4월 기준으로 2000년(104만9천명) 이후 22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증가 폭은 취업자 수가 100만명 넘게 늘었던 올해 1월(113만5천명), 2월(103만7천명)보다는 작지만, 3월(83만1천명)보다는 커졌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2만4천명) 고령층 일자리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 가운데 고령층 일자리가 거의 절반을 차지한 것이다.

60세 이상 일자리는 제조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많이 늘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외 50대(20만8천명), 20대(19만1천명), 30대(3만3천명), 40대(1만5천명)에서도 일제히 취업자가 늘었다.

업종별로는 공공 비중이 높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3만명)·공공행정(9만1천명) 취업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두 업종의 취업자 증가분은 전체의 37.0%를 차지했다.

정부가 세금을 투입한 직접 일자리가 늘고 의료·복지·돌봄 수요가 일시적으로 확대된 영향이다.

제조업(13만2천명)의 경우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취업자 수가 2015년 11월(18만2천명) 이후 6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의 타격이 이어지며 도소매업(-1만1천명)과 숙박·음식점업(-2만7천명)은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감소했다.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20년 1월과 비교하면 지난달 숙박·음식점업 고용은 90.9%, 도소매업 고용은 93.2% 정도 회복돼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밑돌고 있다.

금융·보험업(-5만4천명)도 감소 추세를 이어갔다.



◇ 단기 근로자 증가, 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일자리로 분류되는 상용근로자가 92만9천명 늘었다.

임시근로자(4만8천명)도 증가했지만, 일용근로자는 11만7천명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3만9천명)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2만명)가 모두 늘었다.

취업 시간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70만9천명 증가했다.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0만2천명 늘었는데, 이들 가운데 1∼17시간 단기 근로자(8만3천명)가 특히 많이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1%로 작년 동월 대비 1.7%포인트 올라 동월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실업자 수는 86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3천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0%로 1.0%포인트 떨어지며 집계 기준이 변경된 1999년 6월 이래 4월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9만1천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7만6천명 감소했다.

육아나 가사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쉰 '쉬었음'(-15만2천명) 인구와 구직단념자(-20만5천명)도 함께 줄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4월 고용동향에 대해 "수출 호조와 산업의 비대면·디지털 전환으로 취업자가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고용은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한시적 보건 인력 수요 급증 등 최근의 일시적 증가 요인이 소멸하며 증가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의 봉쇄조치, 물가 상승세 지속 등 고용 하방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mskw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