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분기 성장률 -1.4%…인플레·무역적자로 예상 밖 후퇴(종합)
2020년 2분기 이후 첫 역성장…우크라 전쟁·코로나 불확실성도 배경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인플레이션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계속되는 여파 속에 미국 경제가 뒷걸음질 쳤다.
미 상무부는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1.4%로 집계됐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성장률은 속보치와 잠정치, 확정치로 3차례 나눠 발표된다. 이날 발표는 속보치로 향후 수정될 수 있다.
이로써 미 경제는 6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에 마침표를 찍었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는 6.9% 성장한 바 있다.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1∼2분기 이후 처음이다.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각각 집계한 1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모두 1.0%였다.
예상 밖의 역성장을 기록한 것은 심각한 무역적자 때문이다.
1분기 미국의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며 전체 GDP를 3.2%포인트 끌어내렸다고 CNBC 방송과 마켓워치가 전했다.
여기에 정부 지출이 감소한 것도 미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 분기 미국의 국방 지출은 8.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초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에 이어 2월 말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인플레이션이 악화한 것도 경기 둔화의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이미 꼬인 글로벌 공급망이 추가로 타격을 받으면서 전쟁 이후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와 원자재, 식료품 가격이 더욱 급등해 기업은 물론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그러나 1분기 마이너스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 자체의 건전성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이날 수치를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시각도 있다.
기저 수요를 측정하는 지표인 국내구매자 실질최종판매는 연율 2.6% 증가해 오히려 작년 4분기 1.7%보다 개선됐고, 1분기 소비자 물가가 7.8% 급등하고 연초 오미크론 변이가 대유행했음에도 미 실물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개인소비지출은 오히려 0.7% 증가한 것이 그 근거다.
판테온 거시경제연구소의 수석이코노미스트 이언 셰퍼드슨은 "미 경제가 침체에 빠져드는 것은 아니다"면서 "소비자 제품 수입 급증으로 무역적자가 심화했으나 이는 아주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미국이 3.7%로 독일(2.1%), 일본(2.4%), 한국(2.5%)을 크게 앞선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라는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향후 경기 반등을 낙관할 수는 없다.
물가가 추가로 치솟으면 미국 경제의 버팀목인 소비자 지출도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인플레이션 억제에 사활을 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본격적인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이 향후 미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지 모른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도이체방크가 맨 먼저 내년 미 경기침체 가능성을 공식 경고했고, 골드만삭스도 1년 후 침체 확률을 35%로 추정한 바 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