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저탄소기술 투자 본격화해야 생산활동 지속가능"

입력 2022-03-16 03:13
"2030년까지 저탄소기술 투자 본격화해야 생산활동 지속가능"

독일 아고라 에네르기벤데 연구소·주독한국대사관과 웨비나

(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 = 독일 기후·에너지전환 주요 싱크탱크인 아고라 에네르기벤데 연구소의 올리버 사토르 박사는 15일(현지시간) 2030년까지 남은 기간 업종별로 저탄소 기술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해야 해야 이후에도 생산 활동 지속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날 주독일한국 대사관과 '산업부문의 탄소중립'을 주제로 공동으로 연 웨비나에서 한 발제에서 유럽 철강 기업들의 대규모 친환경·탈탄소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독일은 우리나라보다 5년 이른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유럽연합(EU)이 신기술 투자 확대 여건 조성을 위해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기술적, 재정적, 제도적 지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기업들의 기술 전환 투자를 유인하고 국제적 탄소누출을 막기 위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과 이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기후동맹과 같은 국제적 공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고려대 조용성 교수는 이날 발제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산업부문의 획기적인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하며, 특히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탈동조화되도록 기술진보와 에너지 전환 및 효율 향상에 힘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철강 등 직접배출을 많이 하거나 반도체 등 공정 및 전력을 통해 간접배출을 많이 하는 업종별로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온실가스 저감과 지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포스코경영연구원 김지선 수석연구원은 "EU가 도입을 추진 중인 탄소국경조정제도는 무역상대국의 경제적, 기술적, 행정적 부담을 높일 것이므로, 탄소배출량 산정이나 국제 탄소가격 책정에 대한 국제적 합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철강산업이 탈탄소화와 탄소중립을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수소기반 생산공정 혁신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한독 정부 간 정보공유 채널 강화 및 민관학 기술협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현옥 주독대사는 이날 환영사에서 "오는 25일 탄소중립법 시행을 앞두고 한국은 2050 탄소중립 비전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을 흔들림 없이 경주해나갈 것"이라며 "기후정책을 산업 및 통상 현실과 조화롭게 연계시켜 나갈 때 탄소중립 실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