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침공] 압박받는 미국 빅테크…인터넷 쪼개진 '스플린터넷' 우려
EU "구글·유튜브, 러시아 전쟁 선전 계정 차단해야"
러시아서 트위터·페이스북 접속 일부 제한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페이스북과 애플 같은 미국 거대 테크 기업들이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대응을 놓고 러시아와 서방 양쪽에서 압력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민족주의' 속에 인터넷이 파편화하는 이른바 '스플린터넷'(splinternet) 현상이 가속할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플린터넷은 인터넷(internet)과 '쪼개지다'는 뜻의 '스플린터'(splinter)의 합성어로,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넷 속 세상이 국가의 간섭으로 분열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중국이 해외 사이트 검열 시스템인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을 만들면서 많이 퍼진 개념이다.
중국과 나머지 나라로 나뉘었던 인터넷의 파편화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빨라질 수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빅테크 기업은 점점 각국의 로컬 규정에 얽매이고 있고,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스플린터넷'이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티에리 브레튼 유럽연합(EU) 산업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구글과 유튜브가 전쟁 선전 계정을 금지해야 한다고 이들 기업 CEO들에게 요구했다.
브레튼 위원은 알파벳과 자회사 구글 CEO인 순다르 피차이와 수전 워치츠키 유튜브 CEO와 영상 통화를 마치고 낸 성명에서 "표현의 자유에 전쟁 선전은 포함되지 않는다"면서 "RT와 다른 러시아 국영 매체의 콘텐츠는 너무 오래전부터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 콘텐츠'로 제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와 미국 소셜미디어의 충돌도 계속되고 있다.
구글은 이날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국영 방송 러시아투데이(RT) 앱을 내려받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메타 플랫폼의 페이스북은 우크라이나 내의 일부 러시아 국영 매체를 포함한 계정을 차단했다. 이는 우크라 정부의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고 닉 클레그 페이스북 국제 문제 사장은 말했다. 그는 러시아 국영 매체를 제한하라는 다른 나라 정부의 요구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 내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접속을 차단하라고 제안하지만, 서비스 중단은 중요한 의사 표현을 가로막는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에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독립적인 정보 수집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이들 플랫폼을 이용해 전쟁 반대 시위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러시아 정부가 이미 이 같은 활동을 막기 위해 메타 플랫폼의 속도를 느리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지난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하루 뒤 페이스북 접속을 일부 제한했다. 러시아는 페이스북이 러시아 미디어를 검열하고 있다고 이유를 들었다.
앞서 러시아 당국은 페이스북이 팩트체크 활동을 하고 자국 국영 매체의 보도에 국영 매체라는 표식을 붙이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요구했으나 페이스북은 이를 거부했다.
트위터도 러시아에서 일부 이용자의 자사 플랫폼 접속이 제한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페이스북은 러시아 국영 매체가 자사 플랫폼에서 광고하거나 수익을 올리는 것을 금지했다. 유튜브와 구글도 비슷한 조치를 내놨다. 이런 조치는 마크 워너 민주당 상원의원이 주요 테크 기업들에 러시아의 여론전에 대항하기 위한 조치를 촉구한 뒤에 나왔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는 애플이 러시아 내 앱스토어를 차단할 것을 촉구했다.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팀 쿡 애플 CEO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는 당신들의 지지가 필요하다. 2022년에 현대 기술은 아마도 탱크와 로켓 발사기, 미사일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은 정보의 자유라는 미국의 가치를 지킬 것인지 아니면 이런 원칙과 자주 충돌하는 현지 법규를 준수할지를 놓고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구글은 정부의 콘텐츠 삭제 요구가 2015년 이후 5배 늘어 연간 5만 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비영리단체 프리덤하우스에 따르면 지난해 기술 기업의 콘텐츠, 데이터, 경쟁과 관련해 새 규정을 추진한 나라는 48개국 이상이다. 나이지리아 당국은 트위터를 차단했고, 인도는 중국과의 국경 충돌 이후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의 자회사 틱톡을 금지했다.
이런 압력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밖에까지 미치고 있다. 지난해 러시아는 넷플릭스를 시청각 공급업체로 분류해 넷플릭스가 가입자들에게 러시아 국영 방송 채널을 제공하도록 했다. 이는 러시아가 2019년 인터넷주권법을 통과시켜 콘텐츠 통제를 강화한 결과다.
구글 법무팀 출신인 대프니 켈러 스탠퍼드대 사이버정책센터 연구원은 러시아에서는 논쟁이 어떤 콘텐츠를 지울지에서 어떤 콘텐츠를 올릴지로 확대됐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의 인터넷 규제 당국이 구글에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의 분리주의 지도자의 채널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라고 요구한 것을 한 예로 언급했다.
러시아 당국은 우크라이나에서 스푸트니크 등 러시아 매체의 유튜브 채널을 복구시키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구글, 페이스북 등에서 일했던 누 엑슬러는 일부 기업은 광고 시장이 작은 나라에서는 당국의 요구나 규정을 무시할 수도 있다면서 "광고 시장이 크고 직원이 있는 큰 나라에서는 복잡한 고려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