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일촉즉발] 정부, 사태 급변에 실물경제 영향 예의주시
산업부, 수출-에너지-공급망 점검…단기영향 제한적이지만 직·간접 피해
국내 기업, 우크라이나서 13개·러시아서 120여개 사업장 운영
수출기업은 우크라이나 2천300여개, 러시아 5천400여개에 달해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급변할 조짐을 보이자 정부는 현지 상황에 촉각을 세우며 실물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자원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국제 정세 변화로 인한 영향을 들여다보고 있다.
현재까지는 이로 인한 수출이나 에너지 수급, 공급망 등에 큰 변화는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앞서 산업부는 1차관과 2차관이 각각 지난달부터 산업자원안보TF와 에너지·자원수급관리TF를 열어 대응 방안 등을 수립해둔 상황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동안 대책회의를 열어 혹시 모를 상황 전개에 대비해왔다"면서 "(전쟁 발발 시)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지만 언제든 상황이 바뀔 수 있어서 국제 정세 변화 등을 예의주시해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산업부 관계자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등을 통해 큰 방향이 결정되면 산업부도 이에 맞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5%와 0.1% 수준이어서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의 경우 이미 장기 수급 계약 등을 통해 물량을 확보해 놓은 만큼 단기 수급에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에너지 가격의 추가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결국 국내 기업의 수익 감소는 물론 물가 상승도 자극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이 러시아에 대해 수출 통제나 금융제재에 돌입할 경우 국내 경제에까지 파장이 예상된다.
아울러 현지에 진출한 기업의 경영상황 악화와 공급망 교란 등도 우려된다.
산업부는 일단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사전 준비로 비상 연락망을 구축하는 한편 전문화된 대응 지원 시스템을 마련 중이다.
우크라이나에 진출한 국내 기업은 13개사로, 현재 모든 주재원이 철수한 상태로 파악됐으며 러시아에 있는 120여개 기업은 모두 조업과 영업활동 차질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산업부는 미국이 대(對) 러시아 수출 통제에 나설 경우 즉각 전담 창구를 열어 해당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품목이 통제 대상에 해당하는지 등에 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설명회와 자료 배포 등을 통해 기업들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수출하는 국내 기업은 각각 2천300여개, 5천400여개사로 파악됐다.
기업에 대한 체계적 지원과 대응을 위해 민관 합동으로 구성된 기관과 공기업도 힘을 보태고 있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관련 수급 애로 해소를 위해 정부 부처와 유관기관 등이 민관 합동으로 세운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부터 공급받는 원자재 관련 업계의 애로 사항을 접수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부사장을 반장으로 하는 '우크라이나 비상대책회의'를 개최하고 비상대책반 참여 부서와 인원을 확대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비상대책반 활동과 관련해 "동향 파악과 영향 분석, 기업 애로 해소, 직원 안전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트라 홈페이지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입 기업을 위한 전용 메뉴를 신설하고, 전화 창구도 열었다.
정부 부처와 무역관, 업종별 협회 등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는 글로벌 공급망분석센터는 수급 우려가 큰 품목의 국내외 가격·수급 동향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업계에선 러시아·우크라이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재고 확대를 추진 중"이라며 "우려 품목에 대해서는 수입선 다변화와 국산화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