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도광산 평가받도록 한국 등과 논의"…역사 논쟁 예고
'에도 시대 금광' 강조…'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배제' 전략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기로 1일 결정한 일본 정부는 한국의 반대를 넘어서기 위해 자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은 "사도 금산(金山·금광)의 가치가 문화유산으로서 훌륭히 평가받도록 한국을 포함한 관계국과 냉정하고 정중하게 논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추천하기로 각의에서 승인한 후 이날 일본 총리관저에서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사도 광산에 관한 한일 양국의 시각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점을 알지만 물러서지 않고 논쟁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마쓰노 장관은 또 "(사도 광산은) 에도시대에 우리나라(일본) 고유의 전통적인 수공업을 활용해 대규모로 장기간에 걸쳐 계속한 희유(稀有·거의 없음, 드묾)한 산업 유산으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라며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그는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록을 목표로 앞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밝힌 대로 정부 기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기 위해 현재 준비 중이며 서둘러 첫 회의를 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을 에도 시대(1603∼1867년)의 금광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문제를 제외하고 세계유산으로 추천한다는 전략과 맞닿는다.
니가타(新潟)현 앞바다 사도섬에 있는 사도 광산은 에도 시대에는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활용됐다.
광산 노동은 사고 위험을 동반하며 규소폐증 등 질병을 일으킬 위험이 커서 기피 대상이었다. 일제는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조선인을 대거 동원했다.
동원된 조선인 규모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대 1천200여 명(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적어도 2천 명(히로세 데이조 일본 후쿠오카대 명예교수) 등으로 추정된다.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