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변동성 속 실적 호조에 상승…나스닥 3.13%↑ 마감
(뉴욕=연합뉴스) 임하람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지난 한 주간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던 뉴욕 증시가 상승하며 한 주의 거래를 마쳤다.
2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4.69포인트(1.65%) 상승한 34,725.47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5.34포인트(2.43%) 오른 4,431.85
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17.79포인트(3.13%) 급등한 13,770.57로 장을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는 하락 출발했으나, 장중 반등에 성공하며 변동성을 나타냈다.
사상 최대치의 매출을 기록한 애플 등의 기업 실적이 증시에 우호적인 영향을 미쳤다.
애플은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한 1천239억 달러(약 149조1천억 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반도체 공급난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의 분기 매출을 기록한 것이다. 이날 애플의 주가는 7% 가까이 급등했다.
신용카드 회사 비자는 회계연도 1분기 순 매출이 71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24% 증가했다고 밝혔다. 분기 순익은 주당 1.81달러로, 전문가 예상치를 상회했다.
비자의 주가는 10% 이상 올랐다.
우호적인 실적을 발표한 테슬라의 주가도 2%대 상승 마감했다.
에너지 업체 셰브론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흑자 전환했지만, 시장의 예상치를 하회했다. 셰브론의 주가는 이날 3.52% 하락했다.
캐터필러는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비용 또한 높아졌다는 소식에 5% 이상 급락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미국의 물가는 또다시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공포를 증폭시켰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동월대비 5.8%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1982년 이후 약 4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도 전년동월대비 4.9%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근원 PCE 가격지수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다. 연준이 참고하는 물가 지표가 또다시 거의 40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금융시장에서는 3월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올해 3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100%로 내다봤다.
월가에서는 연내 6~7회의 금리 인상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날 연준의 올해 금리 인상 전망을 7회로 상향 조정했다. BNP파리바도 올해 금리 인상 전망을 여섯 차례로 올렸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날 주가가 반등했지만, 연준의 긴축 공포 속 시장은 앞으로 지속적인 변동성과 하방 압력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BMO 캐피털의 영유마 수석 전략가는 "이날 증시가 보여준 큰 폭의 등락은 주식 시장이 현재 직면한 도전을 드러낸다"며 "금융 여건이 긴축적인 쪽으로 돌아선 가운데 이 같은 변동성은 당분간 주식 시장에서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웰스파고의 다렐 크롱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 강세론자들과 약세론자들의 줄다리기가 지속되며 투자자들에게 어려운 한 주였다"며 "그러나 이런 조정장에서는 아직 저점을 봤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의 크리스 허시 매니징 디렉터도 "이번 주는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소화하는 한 주였다"며 "연준의 매파적인 어조는 이날 발표된 높은 물가로 다시 한 번 지지받게 됐다"고 전했다.
이번 한 주 동안 뉴욕증시는 극심한 변동성을 경험했다. 주초에는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1,000포인트 이상 폭락했다가 다시 반등 마감하기도 했다. 비스포크인베스트먼트그룹의 분석에 따르면 S&P500 500지수는 이번 한 주 동안 일간 2.25%의 변동성을 보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83포인트(9.28%) 하락한
27.66에 마감했다. 월가의 공포 지수로 불리는 이 지수는 이번 주 중 2020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은 바 있다.
hrl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