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R&D 관리 체계화…코로나 백신 국산화 끝까지 지원

입력 2021-10-12 16:00
수정 2021-10-12 16:28
감염병 R&D 관리 체계화…코로나 백신 국산화 끝까지 지원

과기자문회의, '제3차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의결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투자 규모가 커진 감염병 연구개발(R&D)의 질적 성장을 위해 정부가 이 분야의 총괄·조정 체계를 강화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국산화를 끝까지 지원하고 치료제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12일 제18회 심의회의를 열고 질병관리청이 제출한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기술개발 추진전략(2022∼2026)'(이하 3차 추진전략)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전략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5년 단위로 수립·추진된다.

3차 추진전략은 2차 추진전략이 올해 말 종료됨에 따라 변화한 감염병 위기 상황을 반영하고, 포스트 코로나19를 대비해 국가 감염병 R&D 패러다임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준비됐다.



정부는 1·2차 추진전략을 통해 우리나라의 감염병 R&D 투자 규모가 커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성과가 창출됐다고 평가했다.

올해 우리나라의 감염병 R&D 관련 주요 사업 예산 규모는 약 4천376억원으로 작년(3천534억원)보다 24.9% 증가했다.

정부는 3차 추진전략을 통해 ▲ 국가 감염병 R&D 책임 기반 강화 ▲ 감염병 위기 극복 핵심 기술 확보 ▲ 감염병 연구 협력 생태계 확대 ▲ 전방위 미래 방역 체계 구현을 실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지난 7월 신설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감염병특별위원회와 국립감염병 연구소를 중심으로 감염병 R&D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감염병연구정보통합시스템을 신설해 R&D 성과관리와 활용체계를 고도화한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내년 상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총력 지원하고 코로나19 치료제를 조기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임상연구도 돕는다.

코로나19 치료제 신속임상연구는 치료 효과가 예측되는 약제를 선별해 약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즉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국립감염병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중증·밀접접촉자 대상 치료약물 병합요법 임상시험(K-COT-1)이 추진 중이다.

감염병 연구 협력 생태계 강화를 위해 '사람-동물-환경'에 걸친 원헬스(One-Health) 연구 협력체계도 구축된다. 원헬스 연구 협력체계는 인수공통감염병, 항생제 내성 등에 대응한다.

촘촘한 방역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신종 감염병 감시·예측 시스템과 신기술 기반 감염병 진단기술이 개발된다.

또 감염병 대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 유전자증폭(PCR) 장비, 이동형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의 의료장비 국산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염한웅 부의장은 "감염병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상황에서 국가 차원의 감염병 기술개발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 "코로나19 위기를 통해 경험한 시행착오를 밀알로 삼아 우리의 위기 대응 능력을 더 끌어올리는 계기로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ki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