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050년 그린철강 실현 비용 최대 40조원…지원 필요"(종합)
"수소환원제철 '하이렉스' 기술 글로벌 공동개발 추진"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윤보람 기자 = 김학동 포스코[005490] 사장(철강부문장)은 29일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선 신규 투자비와 기존 설비의 매몰 비용을 포함해 최대 40조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수소환원제철포럼(HyIS 2021) 기자간담회'에서 "아직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이 끝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지 않고 변동성이 있지만,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설비를 전환할 경우 대략 이 정도의 비용이 들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수소환원제철은 석탄 대신 그린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해 기존 고로(용광로) 공법과 달리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철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포스코는 이 기술을 개발해 2050년까지 수소 500만t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김 사장은 "탄소중립을 위해선 기술적으로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상용 규모의 실증을 얼마나 빨리 진행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라고 언급했다.
대규모 장치산업의 특성상 코크스, 고로, 제강 등 기존 설비를 수소환원제철 공정에 맞게 전환하는 과정에 많은 투자비가 필요한 점도 어려운 요인으로 꼽았다.
포스코가 추산한 수소환원제철 관련 비용은 2050년까지 신규 투자비 20조∼30조원, 기존 설비의 전환 비용 5조∼10조원이다.
김 사장은 "철강산업을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하는 것은 철강뿐 아니라 전·후 공정을 포함한 모든 제조업 생태계를 전환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금융지원, 세제지원, 연구개발(R&D) 국가정책 추진 등이 필요하며 과학기술단체, 시민단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이날 행사에서 현재 파일럿 단계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구체적인 개발 로드맵도 밝혔다.
김 사장은 "국책과제로서 정부와 함께 100만t 규모의 실용 데모 플랜트를 2023년부터 검토하고 2026∼2027년에는 실제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웨덴에서도 비슷한 시기 데모 플랜트 가동을 목표로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라며 "양대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2030년에는 상용을 위한 300만∼400만t 규모의 설비를 누가 더 빨리 구축하는지, 어떤 기술이 더 효율적인지를 비교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술로 '하이렉스'(HyREX)를 개발 중이다. 이 공법은 포스코가 보유한 파이넥스 유동로 기술을 기반으로 가루 형태의 분광과 수소를 사용해 철강을 제조하는 것으로, 펠렛(철광석으로 만든 구슬 형태의 원료)과 단일 환원로를 활용하는 유럽 철강사들의 샤프트(Shaft) 방식과 다르다.
이덕락 포스코 기술연구원장은 "하이렉스 기술은 샤프트 환원로 공법보다 원재료인 분철광석을 쉽게 구할 수 있고 가격도 낮은데다 열 관리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기술의 일정 부분을 오픈 플랫폼 형태로 내놓고, 추가로 개발해야 하는 기술은 전 세계 철강사들이 역할을 분담한 뒤 그 결과를 공유하는 방식의 협력을 생각하고 있다"면서 "이번 포럼에서 하이렉스 기술의 잠재적 우수성을 충분히 설명해 많은 철강사로부터 공감대를 얻고 협력 의사를 끌어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