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은 유동성 위험 커지고, 주택은 충격 민감도 커졌다"(종합)

입력 2021-09-07 15:32
"주식은 유동성 위험 커지고, 주택은 충격 민감도 커졌다"(종합)

금융연 토론회…신용상 금융리스크센터장 발표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한혜원 기자 = 전 세계적으로 통화정책의 전환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주식, 가상자산 시장의 유동성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리스크센터장은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연구원이 연 '통화정책 정상화와 자산시장 영향' 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신 센터장은 "세계적인 부채 규모 증가로 앞으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신흥국과 일부 주요국의 '긴축 발작'과 위기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현재 국내 거시경제 여건과 전망을 보면 추가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렇게 세계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자산 가격은 상승 폭이 크게 제한되거나 조정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 센터장은 "주식이나 가상자산은 관련 시장의 민감도가 커진 상황에서 유동성의 위험이 커지고, 주택시장은 가격 부담이 누적됨에 따라 충격에 대한 시장 민감도가 커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중장기적 점진적 접근으로, 정책당국 간의 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센터장은 정책당국 간의 공조를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 관리 정책으로 나눠 설명했다.

그는 "통화정책은 거시경제 여건, 금융불균형 정도,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를 고려한 점진적 금리 정상화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거시건전성 차원에서는 국민경제 규모와 기초 여건에 부합한 수준으로 부채 총량과 속도를 조절해야 하며, 개별 차주는 상환능력범위 내에서 규제 차이를 해소해 풍선효과를 차단하고 부채의 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신 센터장은 이어 "현재 은행-비은행 규제 차이나 서민·실수요 대출자 요건 완화 등으로 전세대출, 공적 모기지, 서민신용대출 등에서 대출 수요 확대가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앞으로 대출금리 상승과 중소기업. 소상공인 원리금 상환 유예조치 종결 등으로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취약차주 중심으로 대출이 부실해질 수 있다"며 "통화·금융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취약계층 사회·재정 지원과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