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포인트 사태 책임론 커지는데도 금융당국은 '잠잠'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할인 결제 모바일 플랫폼 머지포인트의 서비스 축소로 혼란이 이어지며 금융당국의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머지포인트의 전자금융법(전금법)상 등록을 유도하고 대응을 모니터링 하겠다는 것 외에는 소비자 불안을 해소할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6일 머지포인트 피해자들이 모인 온라인 카페 등에서는 머지포인트 운영사 머지플러스뿐만 아니라 금융당국을 이번 사태를 키운 '주역'으로 지목했다.
"머지포인트가 큰 규모로 사업을 벌여오는 동안 금감원은 왜 인지를 못 한 것이냐", "금감원도 이번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등 비판글을 올리면서다.
당국이 머지플러스에 대한 감독에 미리 나서지 않아 이번 사태를 키운 것이 아니냐는 얘기다.
머지플러스가 2018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최근 각종 소셜머커스에서 상품을 판매하며 유명세를 키우는 동안 금감원은 관련 소비자 주의보도 발령하지 않는 등 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금감원의 부주의한 대응이 일종의 '뱅크런'을 촉발하고 사태를 키웠다는 비난도 이어졌다.
한 이용자는 "금감원이 불필요하게 머지플러스의 발목을 잡아 이 사태를 만들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일부 네티즌은 피해자들이 모두 나서서 금감원에 민원을 제기해야 한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머지포인트는 '무제한 20% 할인'을 표방한 결제 서비스로, 업계에 따르면 최근까지 머지포인트의 이용자 수는 100만 명이며 매달 300억∼400억 규모가 거래됐다.
그러다 지난 11일 밤 머지플러스는 "서비스가 전자금융업(전금법)에 따른 선불전자지급 수단으로 볼 수 있다는 당국 가이드를 수용했다"면서 포인트(머지머니) 판매를 중단하고 사용처를 축소한다고 기습 공지했다.
그러자 12일부터 환불 요구가 밀려들었고, 같은 날 밤부터는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머지플러스 본사로 환불을 요구하는 이용자 수백 명이 몰려들어 아수라장이 벌어졌다.
사태 초기 금감원은 전금법에 등록되지 않은 업체에 대해서는 자료 요구 등 조처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사태가 커지자 "머지플러스가 전금업자로 등록해 정상 영업을 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해당 업체의 대응 및 진행 상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계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런 대응이 실질적인 대책이 될 수 있냐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금감원은 취재진 문의에도 추가 설명을 내놓지 않는 등 이용자 불안을 해소할 방안을 아직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용자들은 금융당국의 조력을 받지 못한 채로 며칠째 직원들이 떠난 사무실을 지키는 상황이다.
머지플러스는 본사를 찾아온 이용자와 온라인 신청자를 대상으로 환불을 진행했다면서 "다음 환불은 17일부터 개시한다"고 밝혔다.
다만 피해자들이 모인 단체 카톡방 등에선 "온라인으로 신청한 사람들 중 실제 환불을 받은 사람이 거의 없다"며 머지플러스가 극소수만을 대상으로 환불하고 시간을 끌고 있는 것이라는 의구심이 제기됐다.
머지포인트 피해자 카페의 한 네티즌은 "일부에게 환불한 것은 보여주기였던 것 같다"면서 "다들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서 서비스를 이용했다가 당했다"고 푸념했다.
ku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