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팬데믹 숙주동물은…과학계 예측 연구중
"바이러스 숙주동물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다"
가축과 달리 새로운 숙주 후보군 축적 자료 부족
(서울=연합뉴스) 강훈상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과학계가 바이러스를 인간에게 옮기는 숙주 동물 후보군을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박쥐, 천산갑, 족제빗과와 같은 숙주 동물에서 사람으로 직·간접으로 전파됐다는 가설이 사실상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만큼 이런 동물을 파악하는 게 다음 팬데믹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해져서다.
연구는 숙주 동물에서 발생한 바이러스가 사람으로 전파되는 경우 뿐 아니라 '사람→동물→사람'으로 재감염되는 경로로까지 확대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런 재감염은 바이러스가 변이할 수 있어 더 치명적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과학자들은 숙주동물끼리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경우도 연구중이다. 이렇게 바이러스가 교환되는 과정에서 더 위험한 새로운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단 이번 코로나19뿐 아니라 에볼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와 같은 많은 전염병이 아시아 사향고향이, 낙타, 설치류 등에 사람이 접촉하면서 광범위하게 확산한 적이 있다.
WSJ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숙주 동물에서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위험을 더 잘 정량화하고 정확히 예측하는 연구가 촉발됐고, 그간 관심 밖이었던 동물까지 더 면밀히 관찰하는 흐름이 형성됐다고 전했다.
영국 리버풀대학의 마야 워데 박사는 "우리는 다음 숙주동물을 생각하고 있다"라며 "알려진 것보다 여러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포유류가 훨씬 더 많다"라고 말했다.
그간 숙주 동물로 자주 등장했던 관박쥐, 사향고향이, 낙타, 천산갑 외에도 아프리카 사바나원숭이, 아시아 노랑박쥐, 고슴도치, 유럽 토끼 등이 연구 결과 새로운 후보군으로 속속 등장하고 있다.
미국 캐리 생태연구소의 바버러 핸 박사 연구진의 최근 연구도 이런 움직임의 한 사례다핸 박사는 바이러스가 인간의 세포에 감염될 때 사용되는 동물의 ACE2 수용체를 동물의 섭생, 신진대사, 생명 활동에 대한 정보와 연결해 어떤 종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잘 감염되고 이를 다른 종으로 전파하는지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하지만 향후 팬데믹을 예측하는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되는 상황은 아니라고 WSJ는 설명했다.
무엇보다 좀처럼 바뀌지 않는 인간의 행동 방식이 몰고오는 팬데믹이 더 자주 일어 날 수 있다는 점을 과학자들은 지적한다.
농장과 시장에서 가축, 야생동물을 계속 취급한다거나 개발을 이유로 산림을 벌채하면서 야생 동물의 서식지에 인간이 더 접근해 바이러스가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캘리포니아대학의 바이러스학자 사이먼 앤서니 박사는 "동물에서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경로가 너무 많다"라며 "이를 모두 염두에 두긴 어렵다"라고 말했다.
또 가축과 같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동물에 관한 연구는 오랫동안 진행돼 자료가 충분히 축적됐지만 박쥐와 같은 야생 동물은 염기서열조차 제대로 완성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펜실베이니아대학의 진화 생물학자 마시에이 보니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에는 박쥐 연구에 아무런 인센티브가 없었다"라며 "박쥐가 어둡고 먼 곳에 군집 생활을 하는 특성 탓에 연구자가 접근하기도 어려워 박쥐가 (바이러스로) 죽는다고 해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캐리 연구소의 핸 박사도 "일부 동물의 ACE2 수용체 염기 서열 자료가 불완전하다"라며 "포유류 동물 6천가지 중에 142가지만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마저도 팬데믹 예측과는 별로 관계없는 동물도 일부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흰오릭스처럼 사람으로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이 큰 동물은 사람과 거의 접촉할 일이 거의 없어 병원균을 보유하면서 사람과 섞여 사는 흰발 생쥐는 주요 관찰대상이 된다"라며 "다음 팬데믹에 연루될 동물을 예측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과 접촉 여부다"라고 말했다.
hs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