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WHO승인 백신 88억회분 생산…고소득국가가 선점"
2022·2023년 110억회분 생산 예상…세계인구 모두 접종에 160억회분 필요
주독대사 "생산역량 총동원해야…한국 신뢰할만한 파트너"
(베를린=연합뉴스) 이 율 특파원 = 올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승인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88억회분이 생산될 예정이지만, 고소득국가들에 의해 이미 선점돼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2년과 2023년에는 약 110억회분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전세계 인구(약 80억명)를 모두 접종하는데 160억회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공급 자체가 부족한 상황은 아니지만, 고소득국가들의 선점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제롬 킴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은 29일(현지시간) 주독일 한국대사관과 독일 콘라드아데나워재단, 국제백신연구소가 공동으로 연 '코로나19와 공공거버넌스: 백신 접근성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글로벌 전략' 웨비나 기조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킴 사무총장은 "백신 생산을 전 세계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각국 의약품 심사·허가 당국의 역량 등 품질 관리 측면에서의 제약을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기존 또는 신규 백신간 경쟁, 다변이 백신의 필요성, 코백스를 통한 백신보급 확대 실현과 백신민족주의·지정학이 코백스에 미칠 영향, 백신 기술·면허 이전의 현실성 및 효과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WHO가 지금까지 긴급사용을 승인한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백신이다.
키크부쉬 제네바국제개발대학원(IHEID) 글로벌보건센터장은 이날 기조발표에서 "공평한 백신의 분배는 평화와 안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민주주의적 가치 수호와 국제연대를 위해 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백신 외교가 글로벌 연대에 기반한 다자주의적 백신 지원과 동맹·지정학적 국익에 기반한 백신 지원 등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독일 등이 크게 기여하고 있는 코백스 백신에는 지원국가의 표식이 없지만, 중국·러시아 등은 자국 지원임을 강조하고 있어 향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장은 이날 패널토론에서 "한국이 11월까지 집단면역을 달성한다는 목표하에 백신 수급과 접종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국민들이 부작용 사례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만큼, 관련 임상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해 안심하고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슈텔라 다넥 독일 연방보건부 백신전략담당관은 "독일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이 강한 연방제 국가여서 백신전략 수립 과정에서 대화와 합의를 특히 중시하고 있다"면서 한국의 강점으로 방역·보건에 있어 높은 디지털 역량 활용도를 꼽았다.
이날 웨비나는 코로나19 글로벌 백신공급·공정분배와 효과적인 국가 백신전략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한독 백신협력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기획됐다.
조현옥 주독대사는 이날 개회사에서 "최단시간내 전세계가 집단면역을 달성하지 않으면 코로나19 변이가 기존 백신의 효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를 상기시키면서 개도국에 대한 백신 보급이 턱없이 부족해 국제사회가 가능한 생산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코백스 기여는 물론, 세계 수준의 생산설비와 제조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이미 여러 종류의 백신을 위탁생산하고 있다"면서 "한국은 글로벌 백신 전략에 있어서 신뢰할만한 파트너가 될 역량과 의지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