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등 주요 산업 디지털전환 지원 10대 프로젝트 추진
2025년까지 지역 거점 확대하고 핵심산업 연계 클러스터 조성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2025년까지 철강, 조선 등 주요 산업에서 디지털전환(DX)이 원활하게 정착되도록 정부가 업종별 10대 대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지역의 디지털전환 거점인 협업지원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지역 핵심산업과 연계한 디지털전환 클러스터도 조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성윤모 장관 주재로 부산 현대 글로벌 서비스 본사에서 '산업 디지털전환 현장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산업 디지털전환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가 지난해 8월 내놓은 '디지털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이 산업 디지털전환의 기본 방향과 핵심 방법론 등을 제시한 것이라면, 이번 전략은 디지털전환을 산업 현장 곳곳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정부는 업계 및 전문가 협의를 거쳐 디지털전환 준비·도입·정착·확산·고도화 등 5단계로 구성된 산업 디지털전환 단계 모델을 마련했다.
이 모델을 토대로 지난달 1∼17일 국내 10대 업종,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디지털전환과 관련해 '준비' 또는 '도입'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구분하면 전통 방식의 기업 간 거래가 대부분인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범용 소재·부품 산업은 디지털전환 수준이 높지 않았다.
반면에 미래차, 가전, 유통 등 대기업이 선도하는 고객 서비스 접점 분야는 디지털전환을 통한 혁신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디지털 기술의 높은 투자 비용 대비 낮은 체감도, 불명확한 데이터 주체화, 데이터 활용모델 부재 등으로 인해 디지털전환 수준이 부족했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이 디지털전환 컨설팅, 기술 확보, 공급기업 및 밸류체인(가치사슬) 기업 간 협업 체계 부족 등으로 수도권보다 디지털전환 투자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디지털전환이 일부 산업에 집중되지 않고 밸류체인 전체에 확산하도록 '디지털 빅-푸시(BIG-PUSH)' 전략을 추진한다.
먼저 '산업 디지털전환 위원회'를 발족해 업종·분야별 디지털전환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를 3년마다 하고 이를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기로 했다.
탄소중립 등 업종별 당면 과제 해결과 시장 동향, 글로벌 경쟁력 등을 고려한 업종별 디지털전환 추진전략을 연내 시리즈로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능형 전기로 시스템(철강), 스마트선박 시스템(조선), 인공지능 진단 의료기기(바이오) 등 업종별로 10대 대표 사업(DX 플래그십)을 추진한다.
기업이 체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벤치마킹 모델사업 30여개(DX 한걸음)를 제시하고 현장 실습형 사업(미니 DX)도 연간 150개 추진한다.
기업의 디지털전환 단계별 지원 시스템도 마련한다.
업종 내, 업종 간 공통과제 해결을 위한 산업데이터 플랫폼을 현 5개에서 2025년까지 50개로 늘리고 중견기업을 밀착 지원할 '중견기업 디지털 혁신센터'를 중견기업연합회 내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역의 디지털전환 접근성을 높이고자 현재 경기 1개소인 협업지원센터를 2023년까지 권역별 5개소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핵심산업과 연계한 디지털전환 클러스터를 조성할 방침이다. 인공지능 실증 집적단지, 스마트그린산단 DX센터와 같은 디지털전환 특화단지도 운영한다.
민간 수요를 기반으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도 구축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전략으로 2025년까지 업종 평균 디지털전환 수준을 '정착' 단계 이상, 선도기업 30%는 '확산' 단계 이상으로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성윤모 장관은 간담회에서 "개별 기업 혼자 힘으로는 하기 어려운 디지털전환을 산업 밸류체인 전반이 협력해 동시에 추진하는 이번 전략을 토대로 디지털전환을 본격 확산하고 체감 성과도 창출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성 장관은 이날 전통 주력산업인 조선 산업의 디지털전환 추진 사례로서 현대중공업 그룹의 스마트 야드 및 스마트쉽 운영 현장을 방문해 업계 의견을 들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