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효과?…총기난사에도 공화 지지층 총기규제 반대 더 커져

입력 2021-03-25 11:25
수정 2021-03-25 11:30
트럼프 효과?…총기난사에도 공화 지지층 총기규제 반대 더 커져

국민 3분의2는 총기규제 강화 지지…정파 따라 입장차 극명

바이든 총기규제 강화 입장 속 상원서 입법화 전망은 '먹구름'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 미국에서 잇단 총격 사건으로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미국 국민 3분 명 중 2명은 보다 강력한 총기 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화당 지지자들의 총기 규제 강화 찬성은 오히려 현저히 떨어지는 등 총기 규제에 대한 찬반이 정파에 따라 극명히 엇갈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이은 총기 난사로 미국 전역이 불안과 공포에 떨고 있는 와중에서도 총기 규제 문제가 정파적 이슈로 전락한 셈이어서 규제 강화 입법화의 험로를 예고하고 있다.



미 일간 USA투데이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가 24일(현지시간)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65%가 총기 규제가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답했다.

다만 총기 규제 강화 찬성률은 2019년 8월 실시된 USA투데이-입소스 조사 때에 비해 7% 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특히 공화당 지지자들의 찬성률이 급격히 떨어졌다.

2019년 8월 조사에서는 공화당 지지자들 가운데 절반을 넘는 54%가 총기 규제 강화를 지지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그 비율이 35%로 20% 포인트 가까이 낮아졌다.

민주당의 총기 규제 강화 지지도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 이번 조사에서 90%를 기록했다.

총기 규제 완화가 총기 난사 발생으로 이어다는데는 전체적으로 57%가 찬성했는데 이는 2019년 조사보다 10% 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특히 공화당 지지자 사이에서는 그 비율이 51%에서 27%로 뚝 떨어졌다. 민주당 지지자의 경우 그 비율이 85%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 73%는 미국의 정신 건강 시스템에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1천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23∼24일 온라인에서 진행된 것으로, 오차범위는 ±3.5% 포인트다.

클리프 영 입소스 회장은 "이는 이슈 자체 보다는 공화당 지지층과 그 리더십 내부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며 "매우 '부족화'된 이 시대에는 대중이 이슈에 대한 입장을 형성하는데 있어 리더십으로부터 얻는 단서들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화당 지도부 내에서 총기 개혁에 대한 당파적인 신호 발신이 바뀌어왔으며 공화당 지지층은 그대로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총기 소지 자유를 담은 수정헌법 2조를 들어 총기 규제 강화에 미온적 태도를 보여왔다. 전미총기협회(NRA)는 트럼프의 대표적 지지기반이기도 하다.

공화당내 총기 규제 강화 지지가 급락한 것은 새 총기 법 찬성을 둘러싸고 공화당 관계자들에게 가해지는 정치적 압박을 덜어주는 것이라고 USA투데이는 전했다.

실제 공화당 유권자들의 44%는 기존 총기 규제가 적정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는 민주당 주도로 최근 하원에서 처리된 총기 규제법 강화안의 상원 내 처리 전망을 더욱 불투명하게 하는 대목이다. 민주와 공화 의석인 50대50 동수인 상원에서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멈추고 표결을 진행하려면 공화당 내에서 10표의 이탈표가 발생해야 한다.

이 법은 총기구매 과정에서 신원조사 의무화 대상을 개인 판매자와 미등록 판매자로 확대하고 연방수사국(FBI)의 조사 기간을 늘리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실제 총기 규제 반대파 그룹은 규제 강화 가능성에 바짝 긴장하며 결집하는 분위기다.

'수정헌법 2조 재단'은 지난 23일 "그들(민주당)이 당신의 총을 뺏어가려고 한다"는 기금모금 이메일을 보내기도 했다.

앞서 지난 16일 애틀랜타에서 연쇄 총격으로 한인 여성 4명을 포함해 8명이 숨졌고 콜로라도 볼더에서는 22일 총기 난사로 경찰관을 포함해 10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잇따라 발생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1분도 지체할 수 없다"며 관련법의 즉각적 통과를 의회에 촉구하는 한편 행정명령을 검토하고 있다.



hanks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