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2기 포스코, '안전·수소'에 방점
"무재해 사업장 구현 최선", 수소와 2차전지 육성 나설 듯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최정우 포스코[005490] 회장이 12일 주주총회를 통해 연임을 확정하면서 '최정우 호(號) 2기'가 본격적으로 가동하게 됐다.
2기 체제에서는 최근 회사 안팎에서 거센 비판을 받은 산업재해 해결을 위해 '안전'에 더욱 방점이 찍힐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먹거리로서 '수소' 사업 육성에도 집중할 전망이다.
◇ 산업재해 집중 포화…"무재해 사업장 구현"
작년 12월 최 회장이 연임 의사를 밝힌 뒤로 정치권과 노동계에서는 산업재해 책임 논란이 집중적으로 불거졌다.
제철소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책임을 최 회장에게 물으며 연임에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에 따르면 최 회장 재임 기간인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산재로 포스코와 협력사 직원 10여 명이 숨졌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포스코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데 이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산업재해 청문회에 최 회장을 불러 노동자 사망사고 책임을 추궁했다.
최 회장은 청문회에서 "안전한 현장을 만들겠다"며 여러 차례 고개 숙여 사과했다.
최 회장은 시무식과 그룹운영회 등 여러 공식 석상에서 올해 모든 경영활동의 최우선이 '안전'이라고 강조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했다.
포스코는 안전 최우선 경영방침에 따라 '생산 우선'에서 '안전 우선' 프로세스로 전환했다. 이를 통해 작업중지권 철저 시행, 안전신문고 신설, 안전 스마트 인프라 확충, 협력사 안전관리 지원 강화, 직원 대상 안전교육 내실화 등 '6대 중점 안전관리 대책을 시행 중이다.
아울러 포스코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향후 3년간 1조원을 추가 투자해 위험·노후 설비 인프라 등을 개선하기로 했다.
위험·노후 설비를 전수조사한 뒤 다중 안전 방호장치 등을 설치하고 위험 설비의 수동밸브 자동화, 안전관리 CCTV 추가 설치 등에 나선다. 안전관리 요원도 기존 300명에서 600명으로 배로 늘린다.
이사회 전문위원회에 신설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통해서도 안전 경영에 대한 책임을 강화한다. 위원회 신설로 앞으로 환경, 안전·보건, 지배구조 등 ESG 관련 주요 정책이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최 회장은 이날 주주총회 인사말에서 "무재해 사업장 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수소·이차전지소재 등 신사업 집중 육성
신사업 면에서 최 회장 2기 체제의 핵심은 '수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포스코는 수소사업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공법 연구,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대 등을 통해 수소 생산 역량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정부의 그린뉴딜과 발맞춰 그린수소 유통과 인프라 구축, 그린수소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수소사업 본격화를 위해 포스코는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산업가스·수소사업부를 신설하고 그룹 내 우수 인력들을 대거 전진 배치했다.
지난달에는 현대차그룹과 '수소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기술을 개발해 자동차 강판 등 현대차[005380]가 사용하는 철강재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탄소를 제거한다는 방침이다.
전기차 확산과 함께 수요가 커지는 양극재·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에도 더욱 공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포스코는 최근 원료 조달부터 소재 생산까지 이차전지 관련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해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 2030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20%, 연매출 23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최근 조직개편에서는 이차전지소재 사업을 하는 포스코케미칼 에너지소재본부를 에너지소재사업부로 확대 개편하고 조직과 인력을 확충했다.
최 회장은 주주총회에서 "차세대 성장사업인 수소사업과 관련, 내부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확충하고 국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 기회를 발굴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차전지소재 사업에 대해선 "생산능력 지속 확대, 리튬·니켈 등 원료 내재화,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티어'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