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통신산업에 중국 발 못 붙인다…'원천 차단' 공식화 움직임

입력 2021-03-11 17:41
인도 통신산업에 중국 발 못 붙인다…'원천 차단' 공식화 움직임

정부 "승인받은 신뢰 업체서만 장비 조달 가능"…사실상 중국 겨냥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인도 정부가 자국 통신 산업 분야에 대한 중국 업체의 진출을 원천 차단하려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중국과 국경 문제로 갈등이 심각해지자 국가 기간 산업인 통신 분야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11일 인도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인도 통신부는 전날 이와 관련한 통신 사업자 면허 규정 개정안을 공고했다.

개정안에는 오는 6월 15일부터는 당국의 승인을 받은 '신뢰가 확보된 공급자'로부터만 통신사가 장비를 조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결국 외국 통신장비업체의 경우 당국의 승인 없이는 인도 통신 산업 진출이 불가능해지게 된 것이다.

인도 정부는 신뢰가 확보된 공급자와 장비 명단 등은 별도로 다시 공지할 계획이다.

개정안에 특정 국가 이름이 거론되지는 않았지만 이번 조치는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알려졌다.

타임스오브인디아는 "이번 개정은 인도의 중요 인프라를 겨냥한 중국의 간섭에 대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왔다"며 중국의 위협과 관련된 '방화벽 조치'라고 설명했다.

인도 정부는 중국과의 갈등 상황 속에서도 자국 일부 통신사가 중국 업체로부터 네트워크 장비를 계속 구매하는 상황에 대해 불쾌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당국이 이 조치를 통해 4G 통신망 개선이나 5G 구축 등과 관련해 화웨이나 ZTE 같은 중국 업체의 비즈니스를 제한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인도는 사이버 공격에 따른 피해가 가장 큰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사이버 범죄로 인해 2019년에만 1조2천400억루피(약 19조3천억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인도는 중국이 전력망 해킹 등 자국 기간 산업에 대해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다고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인도 전력부는 지난 1일 성명을 내고 중국 정부가 지원한 해커 집단이 지난해 인도의 여러 전력 센터를 겨냥해 공격을 감행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도 최근 사이버 보안회사 '레코디드 퓨처'를 인용해 작년 10월 12일 뭄바이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의 원인이 중국이 심은 악성 코드 등 사이버 공격과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전문가들도 네트워크와 통신 장비 등을 통해 사이버 공격이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도에서는 지난해 6월 국경지대 갈완계곡 '몽둥이 충돌' 이후 중국산 제품 보이콧, 각종 프로젝트 취소 등 중국 퇴출 목소리가 커졌다.

인도 정부도 비관세장벽 등 여러 수단을 동원해 중국산 제품의 수입을 막는 분위기다.

아울러 인도 정부는 주권, 국방, 공공질서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동영상 플랫폼 틱톡 등 중국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260여 개를 금지한 상태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