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생명 위협받는 공화 탄핵 반란파 7인방, 지역구서 벌써 역풍

입력 2021-02-15 09:50
수정 2021-02-15 09:51
정치생명 위협받는 공화 탄핵 반란파 7인방, 지역구서 벌써 역풍

'지역 공화당' 불신임안 속속 가결 분위기…지역내 트럼프 지지층 '자극'

"애국적 운동 시작" 트럼프, 중간선거 낙선운동 등 '반역자' 응징 별러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 지난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내란 선동' 탄핵심판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진 공화당 상원의원 7인방이 벌써부터 지역구에서 역풍에 직면한 모양새이다.

이번에 공화당 내 반란파로 이름을 올린 인사들은 리처드 버(노스캐롤라이나), 빌 캐시디(루이지애나), 수전 콜린스(메인), 리사 머카우스키(알래스카), 밋 롬니(유타), 벤 새스(네브래스카), 팻 투미(펜실베이니아) 상원의원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2년 중간선거 등에서 낙선운동을 통해 반(反)트럼프 인사들에 대한 응징 내지 보복에 나서겠다고 벼르고 있는 상태에서 향후 정치생명이 위협받게 됐다는 게 '반역자'들로 낙인찍힌 이들의 실존적 고민이다.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루이지애나주 공화당 집행위원회는 탄핵안이 상원에서 부결된 당일 곧바로 캐시디 상원의원에 대한 불신임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공화당 소속의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주 법무장관은 "캐시디 의원이 공화당 인사가 공화당 인사를 공격하도록 하기 위해 민주당이 쳐놓은 덫에 걸렸다"고 말했다.



네브래스카주 공화당에서도 새스 상원의원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 통과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다만 영하의 날씨와 살인적 바람 등 악천후로 인해 이번 주 잡혀 있던 주 위원회 회의가 이달 말로 연기됐다고 당 관계자들이 전했다.



NYT에 따르면 이번에 탄핵 찬성표를 던진 7명 가운데 내년 중간선거의 대상이 되는 인사는 머카우스키 상원의원이 유일하다. 현재 민주당과 공화당이 50명씩 분점한 상원은 2년마다 전체 정원의 3분의 1씩 선거를 치른다.

다만 머카우스키 의원의 경우 과거 당내 경선에 낙마한 뒤에도 투표용지에 인쇄돼 있지 않은 후보 이름을 직접 써넣는 '기명투표'(write-in) 방식으로 당선된 입지전적 이력이 있을 정도로 지역구 내 입지가 독보적이라고 NYT는 전했다.

아직은 지역구 내에서도 큰 반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가운데 알래스카주 동료인 댄 설리번 상원의원도 상원의 탄핵안 표결 뒤 자신 역시 트럼프의 행동에 격노했다면서 머카우스키 의원에 대해 방어막을 치고 나섰다.

버 상원의원과 투미 상원의원은 이미 2020년 중간선거 불출마를 선언, 이번 임기를 끝으로 정계은퇴를 예고한 터라 상대적으로 운신의 폭이 넓은 편이지만, 이들 역시 지역구에서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로런스 타바스 펜실베이니아주 공화당 의장은 이번 탄핵 심판을 '국민 통합 등 미국 국민에게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 위헌적 시간과 에너지 도둑질'이라고 규정한 뒤 "나는 팻 투미 의원의 투표에 대해 우리의 많은 풀뿌리 지도자 및 자원봉사자들과 실망감을 함께 나누는 바"라고 비난했다.

또한 마이클 와틀리 노스캐롤라이나주 공화당 의장은 버 의원의 탄핵 찬성 표결이 충격적이고 실망스럽다고 비판했고, 이 지역의 댄 비숍 하원의원도 버 의원에 대한 불신임 찬성 입장을 표하며 가세했다.

특히 버 의원의 '소신투표'가 공화당내 트럼프 지지층을 자극하면서 트럼프의 며느리인 차남 에릭 트럼프 부인 라라 트럼프가 '무주공산'이 될 이 지역구에 상원의원으로 출마하는 시나리오에 급속도로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3일 상원의 탄핵안 부결 직후 발표한 입장 표명에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우리의 역사적이고 애국적이며 아름다운 운동은 이제 막 시작했다"이라며 "미국적 위대함을 달성하려는 여정을 함께 지속할 것을 고대한다"며 본격적인 활동 재개를 '선언'했다.

공화당이 '내란 선동' 탄핵 추진을 부른 지난달 6일 의회 폭동 사태를 계기로 트럼프와 결별 필요성에 어느 정도 공감하면서도 정작 탄핵 추진 과정에서 '행동'하지 못한데에는 트럼프의 여전한 영향력과 지지층의 건재를 의식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hanks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