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베트남·중국과 '산업 내 무역' 의존도 심화"
전자통신 업종 수출입 확대…"공급망 안정화 필요"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최근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역내 개발도상국들과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높아져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 내 무역은 같은 산업군 내 유사한 재화의 수출입이 동시에 이뤄지는 현상이다. 이런 무역형태가 확대되면 해외시장의 공급·수요 충격이 국내시장에 더 잘 전파되고 국내시장이 해외의 경기변동 흐름을 따라가는 동조화 가능성이 커져 공급망 관리가 중요해진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5일 발표한 '우리나라의 산업 내 무역 현황과 공급망 관리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2019년 기준 전체 수출의 42.7%로 2008년 31.8%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는 수출기업이 해외에 생산거점을 형성해 중간재 교역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중국, 미국, 일본, 베트남 등 4개국 간 교역에서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중국(39.6%), 일본(32.8%), 베트남(25.1%), 미국(20.7%) 순으로 높았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베트남 및 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16.8%포인트, 8.9%포인트씩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에 미국 및 일본 등 선진국과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베트남 및 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은 주로 첨단기술의 전자통신 업종을 중심으로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과는 반도체 산업 교역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반도체 품목의 산업 내 무역 비중이 2012년 48.3%에서 2019년 62.0%로 증가했다.
베트남과는 가전(4.2%→63.9%), 무선통신기기(20.6%→64.6%) 등 품목의 산업 내 무역이 크게 늘었다.
보고서는 "베트남 및 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에서는 주로 우리나라가 단가가 낮은 저가 제품을 수입하고, 다시 고가 제품을 양국에 수출하는 추세가 확대됐다"며 "수출단가가 수입단가보다 높은 '품질 우위의 수직적 산업 내 무역'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강성은 연구원은 "글로벌 분업구조가 심화하면서 향후 산업 내 무역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큰 만큼,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높은 업종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