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중국산 '드론택시' 도입 앞두고 시연했다?
11일 K-드론 시연행사서 中업체 제품에 이목 쏠리자 행사 목적 관심
국토부 "5년후 드론택시 상용화 목표…아직 도입대상 검토단계 아니다"
현대차·한화 등 국내 대기업들 개발 시작…국토부도 측면 지원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 드론 택시가 사상 처음 서울 하늘을 가로지르면서 미래 이동 수단에 대한 기대가 커진 한편, 이미 전 세계 드론 시장을 선점한 중국에 국내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시장마저 내어 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UAM은 도시 내에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전기동력 비행체를 이용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교통서비스를 뜻한다.
'하늘길'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비행기와 비슷하지만, 활주로가 필요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드론과 같은 기체를 활용하며, 비행기보다 낮은 고도에서 이동한다. 즉, SF소설이나 영화 속에 등장한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같은 미래 산업의 국내 시장을 중국에 빼앗기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는 지난 11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여의도에서 개최한 'K-드론관제시스템' 비행 실증 행사에 대한 보도가 나온 뒤 확산했다. 당일 80㎏ 상당의 쌀 포대를 싣고 한강 상공 비행을 선보인 드론 택시가 중국 이항(億航)사가 개발한 2인승급 기체(EH216)였기 때문이다.
소식을 접한 이들은 관련 기사 댓글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한국산을 키우는 게 아니라 중국산 드론 택시를 들여오는 것이냐", "한국 기술도 있는데 왜 돈 들여서 중국산 드론을 띄워주느냐"와 같은 반응을 보였다.
국토부 홈페이지에도 "나름 많이 발전했다고 생각하며 봤더니, 중국산을 사서 시운전해놓고 'K'자를 붙이냐. 나라 예산을 중국산에 쓰다니 어처구니가 없다"는 의견이 게재됐다.
같은 행사에서 25㎏급 이하 국산 드론 6대가 각각 한강 일대를 날아다니며 교통량 조사, 교량 상태 체크, 편지와 가래떡 배달 등의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지만, 드론 택시에 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왜 국내산 대신 외국산으로 시연?…서울시 "중국산 드론, 시범 비행·전문인력 양성 목적이며 향후 국산 기체로 실증"
이번에 비행 실증을 선보인 중국 이항사의 드론 택시는 서울시가 지난 8월 3억 원을 주고 구매한 것이다.
애초에 미국 리프트 에어크래프트사의 1인승급 기체(헥사)도 비행 실증을 할 예정이었지만, 행사 준비 과정에서 기술적인 문제를 발견해 전시만 했다.
그렇다면 K-드론 행사에 외국산 드론 택시를 들여와 비행하는 모습을 실증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드론 택시 시연의 목적은 5년 내 드론 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삼고 있는 상황에서 드론을 타고 이동한다는 게 실제로 가능하며, 여러 대의 드론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라는게 당국의 설명이다.
서울시 미래교통전략 담당자는 13일 "드론 택시를 도입하는데 정부나 기체를 개발하는 민간의 역할도 크지만, 국민들의 인식이 중요하다"며 "아직 우려가 있는데 실제로 보면 '눈앞에 다가왔구나', '안전하구나'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국은 이런 목적으로 드론 택시를 시연했는데, 현 상태에서 시연행사에 투입할 만큼 준비된 국산 제품은 마땅치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UAM으로 기능할 수 있는 드론이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외국에서도 최근 몇 년 사이의 일이어서 현재로서는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전세계적으로도 많지 않다. 그나마 일찌감치 드론 산업에 뛰어든 중국 업체나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에어 택시를 개발하는 미국 업체에서 조금씩 성과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 담당자는 "올해는 어쩔 수 없이 중국 업체 드론으로 했지만, 국내에서도 드론 택시와 같은 기체를 개발하고 있는 만큼 나중에는 국내 업체 제품으로도 비행 실증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달 중 대구와 제주에서도 서울시가 구매한 드론 택시를 활용한 비행 실증 행사가 열린다. 서울시는 내년 중 각 지자체 신청을 받아 비행 실증을 세 차례 더 시행할 예정이다.
◇ 드론택시 상용화때 중국산 도입한다?…국토부 "현재 도입대상 검토 단계 아니다"
정부가 2025년 드론 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현재 도입을 고려하는 특정 업체나 제품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가 (상용화시 활용할 제품으로) 중국산 드론 택시를 들여온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현재 드론 택시 상용화를 목적으로 도입할 기체를 검토하는 단계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국내 UAM 기체 개발 어디까지 왔나?…현대차·한화시스템 등 대기업 가세
국내에서도 드론 택시와 같은 UAM 기체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대기업이 UAM의 시장성을 내다보고 최근 기체 개발에 뛰어들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월 미국 CES에서 "2028년까지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우버와 협력해 개발한 '개인용 비행체(PAV·Private Air Vehicle)' 콘셉트 모델 'S-A1'을 공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UAM 기술을 쌓기 위해 먼저 화물 운송용 에어카고(Air Cargo) 사업을 할 것이며 2026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화물 운송 무인기 개발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한화시스템도 작년 7월 국내 최초로 에어택시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미국 오버에어와 함께 '버터플라이'라는 이름의 PAV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한국공항공사와도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 7월 UAM 통합감시·관제·항로운항·이착륙 시설·탑승 서비스 관련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2025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순항'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도 지난 6월 현대차와 한화시스템을 비롯해 40여 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도심항공교통 민관협의체(UAM 팀 코리아)'를 출범하는 등 지원 사격에 나섰다.
김송주 항공안전기술원 선임연구원은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드론 택시가 개발되고 도심 비행으로까지 상상 영역이 확대된 지가 2∼3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며 "우리는 이제 1년에서 1년 반 정도지만 자체 제작 능력과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팩트체크팀은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gogogo@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gogo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