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FOMC 회의 결과는 '지금 수준만 해도 충분하다'는 뜻"
"인플레 기대에 장기금리 상승 가능성" VS "실물경기 회복이 전제"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9월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두고 국내 증권가에선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비둘기적'(통화완화 선호) 기조 유지를 확인했으나 기대를 뛰어넘는 발표는 없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7일 리포트에서 "9월 FOMC는 전반적으로 비둘기파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점도표에 반영된 2023년까지 금리동결 기조는 시장이 '그럴 것이다'라고 여겼던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중 현 상황을 가장 잘 대변한 한마디는 '우리는 아직 정책의 탄약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 부분"이라며 "이는 여지는 있지만 당장 쓰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지금 수준만 해도 충분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연준은 고용과 물가가 선제안내(포워드 가이던스)에 충족할 때까지 더 장기간 제로금리를 유지한다고 하는 등 비둘기 성향이 강했다"고 평가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무제한적인 완화 스탠스를 천명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강 연구원은 "연준의 정책 목표가 상당 기간 2%를 넘는 물가상승률이 유지되는 것인데 연준의 수정 경제전망을 보면 2022∼2023년으로 넘어갈수록 목표 달성이 오히려 어려워짐이 드러난다"며 "연준 스스로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설정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혼재돼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신 연구원은 "장기간 제로금리 유지로 단기금리는 안정되겠지만 성장 개선과 인플레이션 상승, 재정 확대로 계속되는 국채 발행 압력은 장기금리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구혜영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연준은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함으로써 물가상승이 유도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그러나 기대가 현실화하려면 실물 경제 회복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 금리가 오르기엔 경기 전망에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설명이다.
연준은 16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오는 2023년까지 현행의 제로 금리를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일정 기간 물가가 목표치인 2%를 넘더라도 이를 허용할 수 있다는 평균물가안정 목표제를 명시했다.
p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