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생산성 높아졌지만 경제성장 기여도는 낮아"

입력 2020-08-12 12:06
"한국, 생산성 높아졌지만 경제성장 기여도는 낮아"

생산성본부 분석…"요소투입 의존적 구조 바꿔야"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우리나라의 생산성이 비교적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이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생산성본부는 2011∼2017년 국가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과 경제성장 기여도를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총요소생산성이란 자본·노동·에너지·원재료·서비스 등 모든 투입요소를 고려한 생산과정 전반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기술진보 및 경영혁신 등의 효과로 해석된다.



2011∼2017년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0.83%로 독일(0.97%)보다 낮으나 미국(0.11%), 일본(0.58%), 유럽연합(EU) 12개국(0.50%)보다는 높았다.

경제성장을 의미하는 전산업 부가가치 증가율에 대한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2001∼2005년 14.7%에서 2011∼2017년 28.1%로 확대됐다.

그러나 이는 일본(75.0%)이나 독일(54.4%), EU 12개국(40.5%)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생산성본부는 "한국의 경제성장이 총요소생산성 외에 노동투입, 자본투입 등 다른 요소투입에 의존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기여도는 -18.6%로 일본(108.7%)이나 독일(61.6%), EU 12개국(91.5%)보다 낮았다.

특히 2000년대 초반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를 주도한 화학, 전기·전자장비, 운송장비 업종의 총요소생산성이 최근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에 서비스업은 39.5%의 기여도를 기록해 독일(46.8%), EU 12개국(29.3%) 등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생산성본부는 "우리 경제의 성장구조가 여전히 자본, 노동 등 요소투입에 의존적이므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선 생산성 주도의 성장전략을 마련해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생산성본부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정책을 총요소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시설·장비 도입 등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뿐 아니라 부가가치율이 높은 소프트웨어(SW) 등 무형자산과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인력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