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산 재실사 요구 거절할까…채권단·금호 대응책 '부심'
산은, 오늘 대책회의…업계 "현산 '노딜' 명분 쌓기"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김남권 기자 = HDC현대산업개발[294870]이 금호산업[002990]과 아시아나항공[020560]에 재실사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채권단과 금호산업, 아시아나항공이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현산의 재실사 요구를 '노딜(인수 무산) 명분 쌓기'로 보고 채권단과 금호산업이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27일 금융권과 재계에 따르면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구체적인 언급은 피한 채 채권단의 입만 바라보고 있다.
현산이 전날 보도자료에서 "계약상 진술 및 보장이 중요한 면에서 진실, 정확하지 않고 명백한 확약 위반 등 거래종결의 선행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강조했지만,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은 그동안 딜 클로징(종료)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산업은행은 이날 대책 회의를 하고 현산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논의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채권단과 금호산업이 현산의 재실사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현재 코로나로 항공업계가 직격탄을 맞으며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상황 역시 한층 열악해진 만큼 현산이 재실사를 통해 인수 가치를 재산정할 경우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
올해 1분기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6천280%로, 전 분기(1천387%)의 4.5배에 달한다. 부채는 전 분기 12조5천951억원에서 13조2천41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자본 잠식도 심각한 상태다.
무엇보다 재협상을 위한 새로운 조건을 내놓으라는 채권단의 요구에 현산이 응하지 않다가 재실사 카드를 꺼내 든 것에 내심 불편한 기색도 채권단 내부에 흐르고 있다.
해외 국가들의 기업결합심사 승인 등 거래종결의 선행조건이 충족됐다는 것이 채권단의 입장이기에 현산 측의 재실사 요구를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기류도 감지된다.
현산의 요구대로 다음달 중순부터 12주 동안 재실사에 돌입하면 구주 매각 대금으로 그룹 재건에 나서야 하는 금호산업이나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아시아나항공 모두 '희망고문' 속에서 연말까지 버텨야 한다.
재실사 이후 현산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나선다면 다행이지만, 인수 대금을 깎거나 정부의 추가 지원을 받아내려고 할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재실사 후 끝내 발을 뺄 여지가 크다는 게 업계 안팎의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산의 재실사 요구도 결국 최대한 시간을 끌면서 계약 무산시 예상되는 2천500억원 규모의 계약금 반환 소송을 대비한 명분을 쌓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현산이 그동안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아시아나항공 본사에 상주시켰던 점을 고려하면 재실사 요구는 사실상 딜을 깨기 위한 명분 쌓기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재실사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결국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채권단의 고민 지점이기도 하다.
현산의 재실사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사실상 현산에 계약을 파기할 수 있는 명분을 주는 셈이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일단 협상 주체들과 대책을 모색하는 동시에 계약 파기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시야에 넣고 있다.
최대현 산은 기업금융부문 부행장은 지난 6월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문제와 관련해 "협상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대비책을 가져갈 수밖에 없다"며 "협의가 진전이 안 됐는데 '플랜B'는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인수를 포기하면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모든 부분을 열어놓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결국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무산되면 아시아나항공은 채권단 관리 체제 아래 놓일 것으로 관측된다.
이 경우 채권단이 아시아나항공의 영구채 8천억원을 출자 전환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한동안 채권단 관리 체제가 유지되다가 시장 상황이 좋아지면 재매각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통매각 대상이었던 자회사 에어부산[298690]과 에어서울 등의 분리 매각도 방안 중 하나로 거론된다.
hanajjang@yna.co.kr kong7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