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구진 "엑스레이 쬐면 코로나19 환자상태 호전" 주장

입력 2020-07-16 11:23
수정 2020-07-16 14:07
美연구진 "엑스레이 쬐면 코로나19 환자상태 호전" 주장

환자 10명 대상 임상시험…"대규모 적용 전 위험성 철저 조사해야"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에게 엑스레이를 쬐는 치료법을 적용했을 때 상태가 호전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모하마드 칸 박사 등 미국 에모리대 연구진은 최근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를 논문사전발표 사이트(medrxiv.org)에 게재했다.

이번 실험은 43~104세 사이(중위연령 78세)의 지원자 10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은 모두 병세가 악화해 산소호흡기에 의존하고 있었다.

지원자들은 1.5그레이(방사선량 측정단위)의 방사선을 쬐었다. 이는 암 치료보다는 적지만 일반적인 엑스레이 촬영에 비하면 1천배 정도 강한 수준이다.

방사선 치료 후 임상 회복에 걸린 중위 시간은 사흘로, 렘데시비르나 황산하이드록시클로로퀸 등을 썼을 때보다 4분의 1에 불과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지원자들과 대조군의 차이는 입원기간 중위값에서 12일 대 20일, 삽관 제거 비율에서 90% 대 60%였고, 폐 상태도 호전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피어리뷰를 거치지 않은 해당 논문을 통해 "엑스레이가 값싸고 전 세계적으로 가능한 코로나19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SCMP는 하지만 "임상시험 대상이 적은 만큼 이러한 결과가 통계적으로 명확한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또 환자 1명은 방사선 치료 후 많은 양의 산소 공급이 필요했고 전신 혈액 응고와 콩팥 이상이 나타났으며, 보름 후 사망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또 다른 환자 1명은 가벼운 메스꺼움을 호소하기도 했다.

투위(塗彧) 쑤저우(蘇州)대학 교수는 "해당 논문은 일부 흥미있는 사례를 제시하지만, 엑스레이 치료를 대규모로 적용하기에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어서 "일부 극단적인 경우, 환자가 죽어가는데 다른 치료법이 없을 때 방사선치료로 생존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대규모로 적용하려면 잠재적 위험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CMP에 따르면 연구진이 임상시험을 시작한 것은 4월 24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치료법으로 자외선 노출 등을 언급한 다음 날이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햇빛을 쬐거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오래 남아있지 못한다는 정부 연구결과 발표를 듣고 "몸에 엄청나게 많은 자외선이나 아주 강력한 빛을 쬐면 어떻게 되는지 한번 실험해보라"고 말한 바 있다.

연구진은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이번 시험을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 부인했다.

연구진은 "광선이 바이러스를 죽이는 게 아니다. 일부 면역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CMP에 따르면 대다수 코로나19 환자는 바이러스 자체보다는 과도한 면역반응 때문에 사망하는 것일 수 있다는 증거가 전세계적으로 늘고 있다.

예를 들어 체내의 코로나19 항체가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와 결합하면 '사이토카인 폭풍'(과잉 염증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엑스레이 치료를 통해 이 세포의 활동을 억제해 환자에게 회복할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고 SCMP는 덧붙였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