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제조치 없었다면 한국인 10명 중 7명 코로나19 걸렸을 것"
UC버클리 연구진, 네이처에 발표…"억제조치로 한국서 3천800만명 감염 모면"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사회적 거리 두기와 휴교 등 강력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억제 조치가 없었다면 한국인 10명 중 7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 연구진들은 한국과 미국,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이란 등 6개국에서 봉쇄령 등 코로나19 확산 억제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고 워싱턴포스트(WP)와 폭스 뉴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렸다.
연구진은 "억제 정책이 없었다면 코로나19의 초기 전파는 하루 약 38%의 기하급수적 증가세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우리는 감염 억제 정책이 이 증가를 상당히 많이 늦췄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들 6개국에서 자택 대피령이나 기업체·점포 폐쇄, 여행 금지 등 코로나19 억제 조치가 내려지기 전과 후의 감염률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이들 6개국에서 모두 6천200만명이 검사를 통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는 것을 피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또 감염됐는데도 검사를 받지 않아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넘어가는 경우를 포함할 경우 약 5억3천만명이 코로나19 감염을 피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국가별로 보면 한국이 3천800만명, 미국이 6천만명, 중국이 2억8천500만명, 프랑스가 4천500만명, 이란이 5천400만명, 이탈리아가 4천900만명이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가 5천184만여명이었던 것에 비춰보면 10명 중 7명(73.3%)이 억제 조치로 코로나19 감염을 피한 셈이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연구진도 이날 네이처에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11개국에서 봉쇄령이 310만명의 목숨을 구했고 감염률을 평균 82% 낮췄다는 것이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진은 지금까지 연구 대상 국가 인구의 약 3∼4%만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금은 이 전염병의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가 집단면역에 도달하기까지 아직도 멀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우리는 나라를 영원히 봉쇄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한 일부 조치를 시행하는 한에서 경제 활동을 어느 정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WP는 이번 연구 결과가 "공격적이고 전례 없는 봉쇄령이 방대한 경제적 타격과 실직을 낳기는 했지만 코로나19의 기하급수적 확산을 멈추는 데는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