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침체 관광산업, 더 과감한 내수부양으로 '죽음의 계곡' 건너야
(서울=연합뉴스) 정부는 26일 정세균 총리 주재로 5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관광 내수 활성화 대책과 규제혁신 방안을 내놨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그로기 상태에 몰린 관광산업을 살려보려는 정부의 고민이 엿보인다. 국내 여행 수요 촉진을 위해 온라인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4만원 숙박 할인쿠폰 100만개를 지원하고 15만명을 대상으로 여행상품 선결제 때 30% 할인 혜택도 주기로 했다. 지역 관광명소를 방문한 사람에게는 추첨을 통해 12만명에게 국민관광상품권 5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애초 이달 30일부터 2주간으로 예정했던 여행주간을 한 달로 늘리기로 했다. 규제 완화 대책으로는 산지 활용 규제를 풀어 스위스 등 해외에서나 볼 수 있는 산악호텔과 산악열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내용이 눈길을 끈다. 갈수록 인기가 높은 캠핑 등 야영산업 규제도 완화하고 여행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일반여행업의 자본금 등록 요건을 현행 1억원에서 5천만으로 낮추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4조6천억원의 관광 지출과 8조5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기대했다. 관광산업은 저성장 시대에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고 일자리 창출 효과가 제조업의 3배나 된다. 이번 대책을 차질없이 실천하고 비상한 상황에 걸맞은 좀 더 과감한 추가 대책을 통해 미래 먹거리로 관광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 사태가 본격 반영된 지난 4월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은 2만9천41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3만5천66명에 비해 98.2%나 줄었다. 서울의 명동·인사동·홍대거리, 제주 등 유명 관광지에서 외국인이 자취를 감췄다. 외국인을 상대로 영업하던 면세점과 호텔 등 숙박업소, 음식점 등은 파리를 날리고 있다. 사실상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산업이 올스톱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하면서 내국인의 국내 관광도 격감했다. 이 때문에 관광 숙박업계는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고 이들 분야에서 대량 해고가 현실화했다. 상황 반전을 위해서는 세계 각국이 코로나바이러스를 조기에 통제해 이동제한을 풀어야 하지만 팬데믹이 지속하고 있어 요원한 실정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올해 외국인 관광객이 4분기에 작년의 50% 또는 100%를 회복할 것으로 가정한다고 해도, 국내 서비스업의 실질 부가가치 생산액은 시나리오에 따라 작년 대비 2조4천억원에서 3조3천억원 줄고, 고용은 7만∼9만7천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현재 돌아가는 상황을 볼 때 실제로는 이보다 피해가 훨씬 심각할 가능성이 크다.
관광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코로나가 종식될 때까지 내수에서 답을 찾을 수밖에 없게 됐다. 국내 관광 활성화로 관련 업계가 기력을 유지하면서 코로나 이후에 대비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가 일찍 코로나바이러스 통제에 나서면서 국내 관광 여건은 다소 나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방역 부담에서 자유롭지 않아 국민들의 관광심리가 얼어붙어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관건은 발이 묶인 내국인의 해외 관광 수요를 어떻게 국내로 돌리느냐다. 작년의 경우 해외로 나간 내국인 관광객은 2천870만명으로 국내로 들어온 외국인 관광객(1천750만명)보다 1천만명 이상 많았고, 여행수지에서 106억7천만 달러의 적자를 봤다. 국내 관광이 사랑받지 못하는 것은 무엇보다 볼거리, 즐길거리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해외 관광 욕구를 국내에서 충족할 수 있는 기반과 분위기가 마련된다면 관광업계의 숨통이 트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와 인프라 개선, 규제 혁파를 통해 관광 콘텐츠의 질을 업그레이드하고 서울과 제주 등으로 국한된 관광 거점을 다변화해야 한다. 외국인 관광객 수에서 지난 2015년 한국을 추월한 이후 해마다 격차를 벌려온 일본이 그랬던 것처럼 국내 관광을 활성화하면 외국인은 따라오게 돼 있다. 세계가 부러워하는 K 방역에서 보듯 위기는 기회이기도 하다. 정부와 관광업계는 이번 난국을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