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환자 48%, 항체생겨도 바이러스 유전자검사 '양성'"(종합)
25명 분석 결과 모두 중화항체 형성…12명은 진단검사서 '양성' 나와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김잔디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가운데 회복해서 항체가 생긴 사람 중 절반가량은 체내에 바이러스가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해 항체가 형성된 다음에도 바이러스가 검출되는지 분석하는 시험의 중간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질본은 25명의 회복기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모두 감염 후 바이러스에 대항할 수 있는 '중화항체'가 형성됐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12명(48%)은 중화항체가 형성됐어도 호흡기 검체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이날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환자에 따라 중화항체가 형성돼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 있는 기간이 다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가 코로나19 완치 후 절반이 '재양성'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게 아니냐는 의문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정 본부장은 "격리해제가 아니라 격리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검체를 채취해 검사한 결과"라며 "격리 해제된 이후에 50%가 재양성될 수 있다고 보는 건 무리한 해석"이라고 말했다.
바이러스 유전자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12명에 대해 추가로 바이러스 배양검사를 시행한 결과, 1차 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다.
즉, 이들의 호흡기 검체를 활용한 바이러스 검사에서는 유전자가 검출돼 '양성'이 나오지만,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있는지 확인하는 배양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오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한명국 중앙방역대책본부 검사분석팀장은 "중화항체가 얼만큼의 방어력이 있는지 명확하게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호흡기로 배출된 검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는 검출되지만, 바이러스가 분리 배양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여 어느 정도의 방어력은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양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다는 건 배양이 가능하지 않을 만큼 미량만 존재하거나, 애초에 이미 사멸해 감염력을 잃은 바이러스의 유전자 조각이 검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방대본 역시 1차 배양검사 결과로 보아 이들에게서 검출된 바이러스의 전염력은 없거나 굉장히 낮다고 결론 내렸다. 방대본은 2차 배양검사 등 추가 연구를 진행해 발표할 예정이다.
단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항체가 형성된 후에도 바이러스 유전자가 장기간 검출되는 특이점이 있다고 봤다. 대개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항체가 형성되면 해당 바이러스는 소실된다.
이런 특이점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아직 단언하기 어렵다는 게 방대본 입장이다.
한 팀장은 "바이러스가 제거되는 시간이 다른 건 환자 개인의 특성적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된다"며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서는) 방어에 관련된 어떤 항체를 개발해야 하는지를 봐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고 말했다.
방대본은 이런 중간결과를 토대로 항체가 어느 정도 형성되는지, 그 항체가 방어력은 있는지, 방어력 있는 항체가 몇 달 정도 지속하는지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코로나19 항체 등 면역 형성이 저조하면 2차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는 데 따른 것이다.
정 본부장은 "자연 감염으로 집단면역을 이루거나 백신으로 집단면역을 높이지 않은 채 가을·겨울철을 맞으면, 국민 대부분이 면역을 갖추지 않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abb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