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다음주 금리 내리나…코로나19 경제심리 영향 주목

입력 2020-02-22 09:01
한은 다음주 금리 내리나…코로나19 경제심리 영향 주목

코로나19 종합경기대책 발표…새해 첫 생산·소비·투자 성적표

(세종·서울=연합뉴스) 이 율 박용주 이지헌 기자 = 다음 주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경제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도 주목된다.

정부가 발표하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종합적인 경기대책 패키지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도 관심이다.



한국은행은 2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코로나19의 국내 감염이 확산하면서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한은이 기준금리를 현 1.25%에서 1.00%로 내릴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가 커지는 분위기다.

앞서 한은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가 확산하던 2015년 6월 가계부채 부담으로 금리를 내리기 어려울 것이란 시장 예상을 뒤엎고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1.50%로 인하한 바 있다.

다만, 코로나19의 경제 여파가 지표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한은이 감염병 확산 추이를 좀 더 지켜본 뒤 4월 또는 하반기 중 인하 여부를 검토할 것이란 관측도 만만치 않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4일 "지금 코로나19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로 확산할지, 지속 기간이 얼마일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내경제 영향을 예단하기에는 아직은 이르고, 지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금통위 후 수정 경제전망도 내놓는다. 작년 11월 내놓은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 2.3%를 0.1∼0.2%포인트 하향 조정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금통위에 앞서 한은은 25일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한 달 전보다 3.7포인트 오른 104.2를 나타냈다.

그러나 2월에는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를 본격적으로 반영해 소비심리가 크게 악화했을 가능성이 크다. 통상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 등 실물지표에 선행하는 성격을 띤다.

26일에는 한은에서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가 나온다.

소비자심리에 이어 기업의 체감경기도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월 전(全) 산업의 업황 BSI는 전월보다 1포인트 내린 75였다.

앞서 한은은 25일 지난해 4분기 가계신용 잠정치 통계도 내놓는다.

12·16 대책이 나오기까지 주택시장이 과열되면서 4분기에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다시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작년 12월의 경우 은행권 가계대출이 7조2천억원 증가해 12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4년 이후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정부는 다음 주 후반 코로나19 관련 종합적인 경기대책 패키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1일 기자들과 만나 "소상공인 임대료와 관련해 정부가 어떤 형태로 지원할 수 있을지 검토하고 있다"면서 "생산·소비·투자·수출 등을 진작할 수 있는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데, 현장에서 피해극복에 도움이 되는지, 경기의 흐름을 살려 나갈 수 있을지를 중심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은 1월 산업활동동향을 28일 발표한다.

생산·소비·투자 등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지난해 11∼12월 두 달 연속 트리플 증가했다. 이에 따라 1월에도 트리플 증가세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지난해 12월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35개 만에 동반 상승했다.

통계청은 이에 앞선 26일 2019년 출생·사망통계를 내놓는다.

지난 2018년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는 0.98명으로 처음 1명 아래로 떨어졌다. 사망자 수는 29만8천9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우리나라 인구는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적은 2만8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4일 통합금융그룹 감독과 관련해 금융그룹 최고경영자(CEO) 및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연다.

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금융그룹 위험관리 성과 및 향후 감독 추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금융그룹의 재무적 위험뿐 아니라 지배구조 같은 비재무적 위험도 세밀하게 살펴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