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재정일자리 효과 역대 최대…민간일자리도 6년만에 최대
역대 최대 60대 이상 취업자 단순노무·임시직에 집중
(세종=연합뉴스) 이 율 이대희 기자 = 올해 1월 재정 일자리 효과가 같은 달 기준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3년 이래 최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재정 일자리 효과에 60세 이상 취업자가 역대 최대로 늘어난 가운데, 늘어난 취업자는 단순노무·임시직에 집중됐다.
보건복지서비스·공공행정산업 취업자를 제외한 민간 취업자 증가폭도 1월 기준으로 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지만, 이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재정 일자리 효과가 집중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하 보건복지 서비스)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하 공공행정)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7만9천명 늘었다. 다른 해 1월과 비교하면 산업별 취업자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3년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1월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 증가폭을 보면 2014년 15만3천명을 기록한 이후 2015년 10만7천명, 2016년 6만6천명까지 줄어들었다가 2017년 11만1천명, 2018년 10만2천명, 2019년 16만명으로 확대한 뒤 올해 정점을 찍었다.
늘어난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는 60세 이상 단순노무 종사자와 임시근로자에 집중됐다. 1월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폭은 50만7천명으로 1982년 7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컸다.
연합뉴스가 1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 취업자는 재정 일자리 효과가 집중되는 보건복지(12만7천명)와 공공행정(6만5천명)에서 전체의 37.8%인 19만2천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농림어업(5만8천명), 건설업(5만명), 숙박·음식점업(4만3천명), 제조업(3만7천명)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정부가 고령자 등 취약계층의 고용난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는 3월이 아닌 1월부터 재정 일자리 사업을 시행하면서 연초부터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재정 일자리 효과가 역대 최대로 나타난 것이다.
다만 60세 이상 취업자를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 증가폭이 13만6천명,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계약기간 1년 미만 임시근로자 증가폭이 14만6천명에 달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올해 1월 전체 취업자 증가폭(56만8천명)에서 재정 일자리 효과가 집중되는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 증가폭(17만9천명)을 제외한 민간 취업자 증가폭은 38만9천명으로 2014년(61만1천명) 이후 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민간 취업자 증가폭은 작년 1월에는 14만1천명 감소해 역대 처음으로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 증가폭(16만명)을 크게 하회했다가 올해 급반등했다.
다만 늘어난 민간 취업자는 운수 및 창고업(9만2천명), 숙박·음식점업(8만6천명)에 집중됐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보건복지·공공행정 일자리를 제외한 취업자 증가폭은 민간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면서 "간혹 재정 일자리 사업 중에도 시장형 일자리 사업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극히 일부"라고 설명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단순노무·임시직 중심의 재정 일자리는 지속가능한 일자리가 아닌 만큼 실물경기가 본격적으로 살아나야 고용에도 화색이 돌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는 "1월 민간 취업자 증가세는 음식·숙박업이나 설 연휴 효과로 인한 택배 등 일시적인 부문에 한정됐고, 2월부터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안 좋아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