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라임·DLF사태에도 사모 운용사 48곳 늘어…사상 최대

입력 2020-01-30 06:06
수정 2020-01-30 09:34
작년 라임·DLF사태에도 사모 운용사 48곳 늘어…사상 최대

2015년 사모펀드 규제완화 이후 대폭 증가…경쟁 심화로 절반이 적자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파생결합펀드(DLF) 관련 대규모 투자 손실과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에도 사모 전문 운용사는 50곳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문제가 된 DLF는 해외금리와 연계된 파생결합증권(DLS)에 투자하는 사모펀드 상품이었고 라임자산운용은 사모펀드 운용을 전문으로 하는 자산운용사다.

30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사모 전문 운용사는 전년 말보다 48곳 증가한 217곳으로 또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7월 말부터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 등이 제기되고 'DLF 사태'와 관련해 불완전판매 이슈 등이 부각됐지만 사모 전문 운용사 증가세는 지속됐다.

지난해 1분기 사모 운용사가 7곳 증가한 데 이어 2분기 10곳, 3분기 14곳, 4분기 17곳으로 증가 규모가 점차 커졌다.

사모 전문 자산운용사는 2015년 말 19곳에서 2016년 말 91곳으로 급증한 데 이어 2017년 말 139곳, 2018년 말 169곳으로 증가세를 이어갔고 지난해 말 200곳이 넘었다.

공모펀드도 운용할 수 있는 종합운용사가 2015년 말 74곳에서 지난해 말 75곳으로 1곳 증가한 것과 무척 대조적이다.

이는 정부가 2015년 사모펀드 규제를 대폭 완화한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전문투자형 사모펀드(헤지펀드) 운용업 진출이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어 문턱이 낮아지자 사모 전문 운용사 신설이 늘었고 투자자문사에서 사모 운용사로 전환하는 사례도 많이 증가했다.

2015년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자기자본 20억원 이상, 전문 운용 인력 3명 이상, 공모 운용사와 비슷한 수준의 물적 설비 등 요건을 갖추면 사모 운용사로 등록할 수 있게 됐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하는 가운데 사모펀드 규제가 대폭 완화되면서 시장은 양적으로 계속 성장했다.

사모펀드 설정액은 2015년 말 199조8천억원에서 지난해 말 416조5천억원으로 216조7천억원(108.4%) 늘었다. 같은 기간 공모펀드 설정액이 213조8천억원에서 242조3천억원으로 28조6천억원(13.4%)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격차가 상당했다.

주로 자산가를 대상으로 하는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와 비교해 규제를 덜 받고 운용방식도 자유로운 편이다. 최소 가입금액은 1억원이다.

하지만 사모 운용사가 대폭 늘어나며 경쟁도 그만큼 심해졌고 상당수 사모 운용사는 적자를 면하지 못했다.

2018년엔 사모 운용사 169곳 중 47.3%인 80곳이 적자였다. 작년 3분기에도 200곳 중 절반이 넘는 113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수익기반이 취약한 회사의 경우 좀 더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산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 자산운용사 추이 (단위: 곳)

┌─────────┬─────────────┬─────────────┐

│ 연말 │ 전체 자산운용사 │ 사모 전문 운용사 │

├─────────┼─────────────┼─────────────┤

│ 2019 │ 292│ 217│

├─────────┼─────────────┼─────────────┤

│ 2018 │ 243│ 169│

├─────────┼─────────────┼─────────────┤

│ 2017 │ 215│ 139│

├─────────┼─────────────┼─────────────┤

│ 2016 │ 165│91│

├─────────┼─────────────┼─────────────┤

│ 2015 │93│19│

└─────────┴─────────────┴─────────────┘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