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44%는 有주택자…다섯쌍 중 두쌍은 '無자녀'
48%는 맞벌이…연평균 5천500만원 벌지만 빚은 1억원
집 있고 외벌이일수록 자녀수 ↑
초혼·재혼 신혼부부 13%는 주말부부 등 따로 산다
(세종=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결혼한 지 5년 이내인 신혼부부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이미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들은 합산 소득으로 연평균 5천500만원 정도 벌지만, 1억원의 빚도 지고 있었다.
신혼부부 가운데 40% 이상이 아이를 갖지 않았으며, 출산 자녀 수는 주택을 보유하고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통계청의 '2018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최근 5년 내 혼인 신고한 초혼 신혼부부 105만2천쌍 가운데 부부 중 1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한 경우는 46만1천쌍(43.8%)으로 집계됐다.
유주택 부부의 비중은 전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이 가운데 주택을 1채 소유한 부부는 38만5천쌍(36.6%), 2채 소유한 경우는 6만2천쌍(5.9%)으로 나타났다. 3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 부부는 1만4천쌍(1.3%)이었다.
혼인 연차가 오래될수록 주택을 소유한 비중이 커져 혼인 5년 차에는 주택 소유 부부의 비중이 절반 이상인 53.2%를 차지했다.
신혼부부 가운데 부부 모두 일을 하는 맞벌이 비중은 전년보다 2.7%포인트 오른 47.5%(50만쌍)이었다.
최근 혼인한 연차일수록 맞벌이 비중이 높아 1년 차 부부의 경우 53.9%가 맞벌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평균 소득은 5천504만원으로, 전년보다 226만원(4.3%) 증가했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소득은 7천364만원으로, 외벌이 부부(4천238만원)의 1.7배였다.
은행 또는 저축은행 등 금융권 대출 잔액이 있는 부부 비중은 85.1%로, 1년 전보다 1.7%포인트 상승했다.
대출잔액의 중앙값은 전년보다 1천만원 증가한 1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맞벌이의 경우 대출잔액 중앙값이 1억1천645만원에 달했고,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도 대출이 1억3천507만원으로 무주택 부부(7천322만원)보다 높았다.
초혼과 재혼을 포함한 신혼부부 132만2천쌍 가운데 함께 사는 부부는 114만9천쌍으로, 비중이 전년보다 0.1%포인트 내린 86.8%였다.
신혼부부 가운데 17만4천쌍(13.2%)이 따로 살고 있으며, 이 가운데 한 명은 국내에, 또 다른 한 명은 해외에 나간 경우는 전체의 5만8천쌍(4.4%)에 해당했다.
부부끼리만 함께 사는 1세대 가구의 수는 2017년보다 1만1천쌍(2.7%) 증가한 42만9천쌍이었다.
신혼부부 거주지역으로는 경기가 27.7%를 차지해 첫 손에 꼽혔다. 서울(18.7%)과 경남(6.4%)이 다음으로 많았다.
신혼부부 수는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줄었지만 세종에서만 12.7% 증가했다.
시군구로 나눠보면 서울시에서는 서울 강서구와 송파구가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관악구와 노원구도 상위 10곳에 들었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부부는 42만3천쌍으로 전체의 40.2%였다. 전년 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혼인 3∼5년 차 부부 가운데 자녀가 없는 경우가 24.3%로, 전년보다 2.5%포인트 올랐다.
초혼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74명이며, 2017년 0.78명에 비해 감소했다.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따진 한국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98명이었다.
혼인 연차가 높아질수록,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주택을 소유하고 있을수록 아이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낳는 경향을 보였다.
2년 차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5명에 그쳤지만, 5년 차의 경우 1.19명이었다.
맞벌이 부부 가운데 자녀가 있는 비중은 54.3%로, 외벌이 부부(65.7%)보다 낮다. 맞벌이 부부 평균 출생아 수는 0.66명, 외벌이 부부는 0.83명이다.
특히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출생아 수는 0.84명이지만,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출생아 수는 0.66명이었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1명으로, 무주택 부부(0.69명)보다 많았다.
만 5세 이하 자녀의 보육은 어린이집 보육이 4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가정양육이 45.6%, 유치원이 3.2%로 그 뒤를 이었다.
맞벌이 부부의 어린이집 보육 비중은 51.2%로, 외벌이보다 9.7%포인트 높았다.
다만 부부 소득으로 나눠보면 합산소득 구간이 높아질수록 자녀출산 비중은 작아졌다.
합산소득 1억원 이상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출산 비중은 51.4%였다. 반면 1천만원 미만의 경우 63.5%에 달했다.
1천만∼3천만원 소득 구간의 출산 비중은 64.8%, 3천만∼5천만원은 64.3%, 5천만∼7천만원은 58.7%였다.
통계청은 신혼부부의 소득이 맞벌이 여부와 관련성이 높아 상위 소득 구간에 있는 신혼부부일수록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 추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