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제·종부세 효과는 언제쯤"…서울 아파트값 22주 연속 상승
금주 0.11% 올라 9·13이후 상승폭 최대…강남권이 주도
입시제도 개편, 수능 이후 방학 특수까지 겹쳐 전셋값도 강세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이어 종합부동산세 납부가 본격화됐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28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25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11% 상승했다. 이는 22주 연속 오름세이면서 작년 9·13대책 이후 최대 상승이다.
강남권의 아파트값이 많이 올랐다. 강남구가 지난주 0.14%에서 금주 0.19%로, 송파구가 0.13%에서 0.18%로 각각 상승했다.
강동구도 지난주 0.15%에서 이번주 조사에서는 0.17% 뛰었고 서초구는 지난주와 같은 0.16% 상승했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전용 76㎡는 20억5천만∼21억원,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22억∼23억원을 호가한다.
잠실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집주인들이 많지만 당분간은 버텨보겠다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며 "실거래는 이전보다 주춤해졌지만 전반적으로 매물이 부족해 호가가 내려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학군 인기지역인 양천구도 0.18% 올라 지난주(0.15%)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동작구(0.14%)와 강서(0.12%)·영등포구(0.11%) 등도 서울 평균 이상 올랐다. 강서구는 목동 학원가 접근이 양호한 염창·등촌동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경기도도 이번주 0.15% 뛰어 지난주(0.13%)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분양가 상한제 대상에서 제외된 과천이 지난주와 같은 0.89% 상승했고, 성남시 수정구(0.63%)와 평촌신도시가 있는 안양시 동안구(0.50%), 하남시(0.45%) 등도 크게 올랐다.
고양시 일산 서구(0.19%)와 동구(0.14%), 남양주시(0.09%)도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전후해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국의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9% 올랐다. 지난주(0.08%)보다 오름폭이 확대된 것이면서 역시 9·13대책 이후 최대 상승이다.
서울·수도권 아파트값 상승폭이 커지고, 지방 아파트값은 3주 연속 상승세를 보인 영향이 크다.
최근 외지인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는 울산의 아파트값은 0.24% 상승해 지난주(0.12%)의 2배로 오름폭이 커졌다.
부산은 지난주(0.19%)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기저 효과로 이번주는 0.17%로 상승폭이 다소 둔화했지만 조정대상지역 해제 이후 여전히 강세는 이어지고 있다.
부산 해운대구(0.69%)는 우동과 재송동 등 인기 단지 중심으로, 수영구(0.65%)는 남천·민락동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이에 비해 경북(-0.08%)과 전북(-0.06%)은 지난주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매매에 이어 전셋값도 동반 상승세가 뚜렷하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대비 0.09% 올랐다. 2015년 12월 초(0.0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대비 0.10% 올랐고 지방도 지난주 0.03%에서 금주 0.05%로 상승폭이 커졌다.
대학수학능력평가 이후 방학 이사철이 시작된데다 정시확대, 자사고 폐지 등의 영향으로 학군 인기지역의 상승세가 가파르다.
양천구의 전셋값이 지난주 0.17% 올라 서울 25개 구를 통틀어 상승폭이 가장 컸고 강남구도 0.24% 오르면서 한동안 시들했던 '방학특수'가 뚜렷해지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최근 6억8천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통상 5억∼5억5천만원 하던 전셋값이 1억3천만원 이상 뛴 것이다.
대치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전세는 나오기가 무섭게 소진되고 가격도 물건이 나올 때마다 오른다"며 "학군 수요도 있지만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받으려면 2년 거주 요건을 채워야 한다니 집주인이 기존 전세 계약이 끝나자마자 재임대를 주지 않고 직접 입주하고 있는 것도 전세 부족의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과천은 새 아파트 청약 대기수요까지 몰리면서 전셋값이 지난주 1.11%에서 금주에도 1.04% 오르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s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