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에…식료품 지출 줄고, 보건·의료비 늘었다

입력 2019-11-17 15:10
저출산·고령화에…식료품 지출 줄고, 보건·의료비 늘었다

하나금융연구소 보고서…교육비 비중도 감소세 전환

근로자 가구와 자영업자 가구 소득격차 커져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저출산과 고령화, 만혼·비혼 확산 등 인구 구조의 변화로 가구의 소비 트렌드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급증으로 전체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출산율 감소로 8교육비 비중도 감소세로 전환했다. 고령인구 증가로 보건·의료 관련 지출은 늘고 있다.

KEB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공공데이터를 분석해 17일 이 같은 내용의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 식료품 지출 비중 절반으로 '뚝'…교육비도 정점찍고 내리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인구의 평균 연령은 1998년 32.3세에서 2018년 41.7세로, 20년간 9.4세 늘었다. 작년 기준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은 14.3%로, 유소년 인구 비중 12.8%를 넘어섰다.

작년 합계 출산율은 0.98명으로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3세, 여성 31세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소비 패턴도 달라지고 있다.

가구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 구입(비주류 음류 포함) 비용이 크게 줄었다. 1990년 전체 소비 지출의 26.6%를 차지, 가장 비중이 큰 항목이었지만, 2018년에는 14.0%로 줄었다. 특히 20∼30대 가구의 감소폭(27.3%→10.5%)이 가장 컸다.

교육비에도 변화가 있었다. 사교육 증가 추세에 따라 가구의 교육비 비중은 1990년 8.2%에서 2009년 13.8%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출산율과 평균 가구원 수의 꾸준한 감소로 그 비중이 작년에는 7.2%까지 내려왔다.



◇ 의료비·교통비 ↑, 의류 소비 ↓

의료비 부담은 늘고 의류 소비는 감소한 점도 눈에 띈다.

보건·의료 관련 지출은 1990년 6.3%에서 2018년 7.3%로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7.1%로 11.3%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황선경 수석연구원은 "앞으로 60∼70대 인구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소비 지출에서 의료·보건 관련 지출 비중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류 관련 지출 비중은 9.8%에서 6.1%로 감소했다. 특히 50대(10.3%→6.2%)와 60대(10.2%→5.2%) 가구의 감소 폭이 컸다.

자동차 구입비와 연료비를 포함한 교통비는 1990년 전체 소비 지출의 7.9%를 차지했지만, 작년 13.3%로 증가했다. 식생활(외식 및 식료품)과 주거 비용을 제외하면 가장 비중이 큰 항목이다.

1990년 2.2%였던 통신비의 비중은 2003년 7.3%로 정점을 찍은 후 완만한 감소세로 접어들어 2018년에는 5.3%를 기록했다.

세금과 공적연금 등 비소비 지출은 1990년 19.5%에서 작년 23.9%로 높아졌다. 특히 가구주가 근로자인 가구는 21.0%에서 25.7%로 늘었다. 이 중 50대 가구주의 증가폭(22.9%→29.1%)이 가장 컸다.

가구주가 자영업자인 가구의 비소비 지출 비중은 16.6%에서 20.5%로 상승, 근로자보다 증가폭이 적었다. 자영업자 가구에서는 40대의 증가폭(15.9%→19.9%)이 가장 컸다.



◇ 근로자·자영업자 소득 격차 확대

소득 수준에도 변화가 있었다. 근로자 가구와 자영업자 가구의 소득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종사자별 월평균 경상소득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1990년에는 자영업자 가구(89만2천원), 근로자 가구(90만2천원)의 소득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올해 2분기에는 각각 390만원, 535만원으로 격차가 145만원에 달했다.

소비 지출도 과거에는 자영업자 가구가 근로자 가구보다 많았지만, 2000년 이후 역전됐다. 최근에는 각각 월 229만원, 283만원으로 근로자 가구의 소비 지출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