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까지 금융사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 50% 미달"

입력 2019-10-07 07:01
"올해 8월까지 금융사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 50% 미달"

2014∼2018년 집행률 은행 75%·카드사 76%·생보사 78%·손보사 83%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금융회사들이 전자금융거래 사고를 막고자 책정한 정보보호 예산의 올해 실제 집행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정훈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국내 금융회사 정보보호 예산 및 결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국내 은행 19곳의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은 41.8%에 그쳤다.

같은 기간 권역별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은 카드사(8곳) 44.8%, 생명보험사(24곳) 45.8%, 손해보험사(19곳) 49.1%였다.

현행 금감원 전자금융감독규정은 국내 금융사의 전자금융거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일정 비율의 예산을 정보보호에 투자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 해의 3분의 2가 지났는데도 책정된 정보보호 예산을 절반 이상 집행하지 못한 것이다.

올해 들어 8월까지 권역별 집행률 최하위는 부산은행(26.9%), KB국민카드(32.3%), BNP파리바 카디프생명보험(26.9%), 코리안리재보험(26.8%)이었다.



기간을 넓혀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을 살펴보면 금융사들의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은 70∼80% 수준에 머물렀다.

2014∼2018년 은행의 집행률은 74.7%였다. 카드사는 76.1%, 생명보험사는 78%, 손해보험사는 82.5%였다.

5년간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이 가장 낮은 은행은 케이뱅크(53.0%·2017∼2018년)였다. 이어서 농협은행(55.9%), 부산은행(56.6%), 대구은행(67.1%), 경남은행(69.5%) 등의 순이었다.

카드사의 경우 이 기간 KB국민카드(59.2%)의 정보보호 예산 집행률이 가장 낮았다. 신한카드(61.1%), 롯데카드(66.9%), 비씨카드(81.1%), 우리카드(81.3%)가 뒤를 이었다.

5년간 생명보험사 중에서는 DGB생명보험(45.8%), 농협생명보험(54.8%), 교보생명보험(56.1%), 흥국생명보험(61.7%), 에이아이에이생명보험(62.6%) 등의 집행률이 낮았다.

손해보험사 집행률은 더케이손해보험(49.6%), 농협손해보험(56.9%), 엠지손해보험(58.6%), 흥국화재해상보험(61.9%), 코리안리재보험(62.4%) 등이 저조했다.

김정훈 의원은 "금융회사가 규정에 따라 계획대로 정보보호에 투자하지 않으면 전자금융사고 대응 능력이 떨어져 소비자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며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정보보호 예산 편성 비율과 집행 현황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집행률 제고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