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추계] 2047년엔 1인·부부가구가 전체의 60%…부부+자녀가구는 반토막

입력 2019-09-18 12:00
수정 2019-09-18 13:36
[가구추계] 2047년엔 1인·부부가구가 전체의 60%…부부+자녀가구는 반토막

1인가구 비중 37.3%로 '가장 주된 가구' 등극…부부가구도 21.5%로 증가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앞으로 28년 뒤에는 전체 가구 중 '1인가구'와 '부부가구'의 비중이 크게 늘어 60%에 다다를 전망이다.

반면 현재 가장 일반적인 '부부+자녀 가구'의 비중은 현재의 반 토막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 특별추계 2017∼2047년' 자료를 보면 2017년 전체 가구 중 1인가구의 비중은 2017년 28.5%(558만3천가구)에서 2047년 37.3%(832만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에서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 형태가 된다는 의미다.

1인가구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1인가구는 2017년 30대(17.4%)가 가장 비중이 컸지만, 2047년에는 70대(21.8%)가 가장 큰 비중으로 올라서게 된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의 비중은 24.1%에서 48.7%로 절반 가까이 뛰어오를 전망이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1인가구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해 "비혼이나 만혼과 같은 인식으로 미혼 인구가 늘어나 독립 가구가 형성되기 때문"이라며 "고령층의 황혼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가구가 분화하는 것도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두 사람이 한 가구인 부부가구의 비중도 증가한다. 2017년 15.8%(309만3천가구)에서 2047년 21.5%(479만4천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부부가구 가구주의 연령대는 2017년 60대(31.7%)가 가장 많았지만, 2047년에는 70대(34.2%)가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1인가구와 부부가구의 비중은 2017년 44.3%에서 30년 뒤에는 58.8%로 전체의 3분의 2에 가까워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최근 가장 주된 가구 형태인 부부+자녀 가구의 비중은 30년 새 반 토막 날 전망이다.

2017년 31.4%(615만가구)를 차지했던 이 유형의 가구는 2047년에는 16.3%(363만8천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전체적인 부부+자녀 가구는 감소하지만, '60대 이상 부부+자녀 가구'는 오히려 증가한다는 것이 특이점이다.

고령화에 따라 60대 이상 부모의 수는 늘어나는 동시에, 비혼이나 만혼으로 자녀의 독립이 늦어지는 점이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한부모+자녀 가구'의 비중은 2017년 10.2%(200만가구)에서 2047년에 9.5%(210만8천가구)로 소폭 감소한다. 역시 부모가 60대 이상인 가구는 증가할 전망이다.

조부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3세대 이상 가구'는 더욱 희귀해질 전망이다. 2017년 비중은 4.9%(95만1천가구)였지만, 2047년에는 2.3%(50만5천가구)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가구원수를 기준으로 한 전망도 비슷한 맥락이 나타난다. 1∼2인 가구는 증가하는 반면, 이보다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는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1∼2인 가구의 비중은 2017년 55.2%에서 2047년 72.3%로 증가한다. 연평균 1인가구가 9만1천가구, 2인가구가 8만6천가구 각각 늘어나는 셈이다.

2017년 26.7%(521만8천명)이었던 2인가구는 2047년 35.0%(780만1천가구)로 약 1.5배 증가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2인가구 가구주 나이를 보면 2017년에는 60대(24.7%)가 가장 비중이 컸지만 30년 뒤에는 50대(23.2%)가 가장 커질 전망이다.

같은 기간 3인가구는 21.3%(416만1천가구)에서 19.3%(431만3천가구)로 소폭 비중이 줄어든다. 4인가구는 17.7%(346만9천가구)에서 7.0%(156만6천가구)로 50% 이상 감소한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