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힝야 귀환 이번엔 성사되나…8개월만에 고위급 협상
미얀마 대표단, 방글라데시서 로힝야 지도부와 송환 논의
로힝야 "미얀마 국적 소수종족으로 인정받아야 귀환"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74만명에 이르는 로힝야 난민의 귀환을 놓고 미얀마 고위급과 로힝야 지도부가 8개월 만에 논의를 재개했다.
우 민트 투 외무부 사무차관이 이끄는 미얀마 정부 대표단이 27일(현지시간) 방글라데시 남부 콕스바자르에 있는 쿠투팔롱 난민캠프를 찾아 로힝야족 지도자들과 귀환을 논의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양측은 작년 11월 송환 개시 계획이 무산된 지 8개월 만에 다시 고위급 회의를 열었다.
방글라데시 난민 담당 고위 인사인 무함마드 아불 칼람은 "양측 모두 긍정적인 분위기이며, 논의는 28일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힝야 지도부의 딜 무함마드는 "이번 협상이 성과가 있기를 바란다"면서 "우리는 미얀마 내 로힝야족으로 공인되지 않으면 안 돌아간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세계 최대 난민캠프'로 알려진 쿠투팔롱 캠프에는 2017년 8월 말 미얀마 라카인주(州)에서 벌어진 미얀마군의 '토벌작전'을 피해 국경을 넘어온 로힝야족 약 74만명이 산다.
미얀마 정부는 무슬림이 다수인 로힝야족을 자국 내 소수종족으로 인정하지 않고, '방글라데시 출신 불법 이민자'로 규정해 '벵골인'으로 부른다.
2017년 8월 라카인에서 로힝야 반군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ARSA)'의 공격으로 미얀마 경찰 10여명이 사망하자, 미얀마군이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로힝야족 수천 명이 숨지고 마을이 초토화됐다.
쿠투팔롱 캠프의 난민 대부분은 당시 미얀마군의 작전을 피해 달아난 로힝야족이다.
방글라데시와 미얀마는 그해 11월 2년 안에 난민을 모두 송환하기로 합의하고, 이듬해 1월부터 송환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난민들의 시민권 인정과 신변안전 보장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송환 개시 시점은 계속 지연됐다.
최근 유엔(UN)과 로힝야 수용국 방글라데시뿐 아니라 미얀마의 핵심 동맹국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송환 압박이 커지며 미얀마의 태도 변화 가능성도 점쳐진다.
앞서 이달 초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는 베이징 방문 일정에서 중국 정부가 로힝야 사태 해소를 돕는 데 필요한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의 역할을 기대했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