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최대 690여㎞ 비행(종합3보)

입력 2019-07-25 20:20
수정 2019-07-25 20:24
北,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최대 690여㎞ 비행(종합3보)

NSC "새로운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분석"…5월 쏜 KN-23 기종 가능성

내달 한미연합연습 불만·북미 실무협상 앞둔 기싸움 등 저강도 도발

북, 2주 전부터 발사준비 징후…'중·러 KADIZ 비행훈련' 통보로 늦춘듯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김동현 기자 = 북한은 25일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첫 번째는 430㎞를 비행했으나, 두 번째 미사일은 690여㎞를 날아가 새로운 형태의 탄도미사일로 분석됐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상임위원들은 "금일 오전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가 새로운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한미간 정밀평가를 통해 최종 판단하기로 하였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북한이 오늘 오전 5시 34분과 5시 57분경 발사한 미상의 발사체 2발은 모두 단거리 미사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군의 발표 이후 정부는 NSC 상임위를 열어 한미 군 당국이 두 번째 북한 미사일을 탐지한 지 13시간 만에 탄도미사일로 결론을 내렸다.

군은 지난 5월 4일과 9일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에 대해서는 아직도 '탄도미사일'로 규정짓지 못하고 분석 중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이번에는 비교적 신속히 결론을 내렸다. 이에 군 관계자는 "오늘 발사된 미사일은 지난 5월 발사한 미사일의 제원 등을 분석한 결과 등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이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 2발 중 첫발은 430㎞를 비행했고, 두 번째 미사일은 690여㎞를 날아가 동해상에 낙하했다. 두 번째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미국 측이 다양한 탐지자산을 통해 분석했다. 우리 군 탄도탄 조기경보레이더(그린파인)에는 종말 단계의 궤적이 포착되지 않았고, 이지스 구축함과 항공통제기 피스아이는 출동하지 않아 탐지하지 못했다.

탄도미사일 2발의 비행고도는 모두 50여㎞로 분석됐다. 북한이 이동식 미사일발사대(TEL)을 이용해 '저각·저고도' 발사를 했고, 특히 두 번째 미사일은 종말 단계에서 급격한 '요격 회피' 기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2발이 같은 기종인지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첫 번째 발사한 미사일도 신형으로 보이고, 두 번째도 새로운 형태의 미사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한미 군 당국은 이번 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정확한 제원을 분석하고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지난 5월 4일과 9일 '북한판 이스칸데르급' KN-23 지대지 미사일을 두차례 시험 발사한 이후 이 미사일 성능을 지속해서 개량해온 점으로 미뤄, 같은 기종을 발사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성능을 보완한 'KN-23 완성형'이거나 정상 비행거리로 발사했다는 것이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5월에 쏜 것과 동일한 기종으로 본다"면서 "당시 발사한 미사일보다 탄두 무게를 줄여서 사거리를 늘린 것 같다"고 말했다.

군과 전문가들은 미국이 두 번째 탄도미사일을 다양한 탐지자산을 통해 분석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두 번째 미사일은 50여㎞ 저고도로 비행하면서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미사일처럼 요격 회피 기동을 하며 첫 번째보다 더 멀리 비행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장 교수는 "두 번째 미사일이 회피 기동을 했고, 우리 측은 종말 단계에서 이를 탐지하지 못했으나 미국 측은 다양한 탐지자산으로 이를 탐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5월 9일 오후 4시 29분과 4시 49분에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했는데 첫발은 420여㎞를, 두 번째는 270여㎞를 각각 비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이 이날 발사한 2발도 5월 9일 발사한 첫 번째(420여㎞)와 유사한 비행 패턴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첫 번째 비행궤적은 군의 그린파인 등에 즉각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 관계자는 5월 발사된 미사일과 동일한 것인지에 대해 "유사하다고 평가하기에는 아직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지난 5월에 발사된 신형 단거리 미사일에 대해서도 분석할 내용이 많아 아직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김정은(국무위원장)이 (발사장소) 인근 지역에서 체류하며 공개 활동이 있었고 관련 동향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었다"고 밝혀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미사일 발사 과정을 참관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1일 함경남도에서 지방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투표를 했으며 22일에는 잠수함 건조시설이 있는 함경남도 신포조선소를 찾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곳은 강원도 원산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북한은 다음 달 5일부터 실시될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검증을 위한 한미 연합연습에 대한 반발과 북미 실무협상을 앞둔 '기싸움' 차원에서 단거리 미사일 발사로 저강도 도발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지난 5월 9일 '북한판 이스칸데르급'으로 평가된 단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77일 만이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2주 전부터 미사일 발사 준비를 하는 정황을 포착했다. 북한은 KN-06 지대공미사일 발사차량도 일부 동해안으로 전개했으나 실제 KN-06은 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군 당국은 북한이 2주 전부터 발사 징후를 보이면서도 지난 23일 중국과 러시아 폭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내에서 연합비행훈련 이후 발사한 점으로 미뤄, 이 훈련 일정을 통보받은 뒤 발사일을 늦췄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이 이날 쏜 2발의 탄도미사일은 KADIZ 최북단에서 멀리 떨어진 동해상에 낙하한 것으로 군은 파악했다.

한편 미국 국방 당국자는 CNN에 "이번 발사는 약 260마일 비행한 지난 5월 2발의 단거리 미사일과 유사해 보인다"고 말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관계자가 북한이 발사한 2발의 비상체(발사체)에 대해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고 확인했다고 밝혔다"며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는 도달하지 않아 우리나라(일본)의 안보에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thre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