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화웨이, 비밀리에 北 3G 무선네트워크 구축·유지 도와"(종합)

입력 2019-07-23 01:05
WP "화웨이, 비밀리에 北 3G 무선네트워크 구축·유지 도와"(종합)

화웨이 내부자료 입수 보도…2008년 北 고려링크 설립시 장비·관리 제공

中판다그룹 소속 회사가 매개역할…北 직접거명 대신 'A9' 등 암호로 불러

對화웨이 美 공세수위 높아질 듯…미중 및 북미 협상 영향 가능성도 주목



(워싱턴=연합뉴스) 백나리 특파원 = 미국 정부가 거래제한 대상으로 지정한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북한의 3G 무선네트워크 구축과 유지에 몰래 관여해왔다고 미 워싱턴포스트(WP)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의 대북제재를 위반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미국 정부가 대(對)화웨이 공세 수위를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무역협상과 북미 실무협상에 영향이 있을지도 주목된다.

WP는 이날 전직 화웨이 직원 등에게서 확보한 내부 문서와 상황을 잘 아는 관계자들을 인용, 화웨이가 비밀리에 북한의 상업용 무선네트워크 구축과 유지를 도왔다고 보도했다.

2008년 이집트 통신회사 오라스콤이 북한의 조선우편통신공사와 지분합작으로 무선통신업체 고려링크를 설립해 3G망을 구축할 때 화웨이가 중국 국영기업 판다 인터내셔널 정보기술과의 제휴를 통해 장비 및 관리서비스 제공 등으로 깊이 관여했다는 것이다.

WP에 따르면 중국 유명 전자기기업체 판다그룹에 소속된 판다 인터내셔널 정보기술(이하 판다)이 핵심적 역할을 했다. 화웨이가 북한에 기지국과 안테나 등 고려링크 설립에 필요한 장비를 전달하는 데 판다가 매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2008년 계약서를 보면 판다는 화웨이의 장비를 북중 국경지대인 단둥 지역으로 나르도록 돼 있다. 거기서 장비들이 철로를 이용해 북한으로 들어가는 식이다.

화웨이는 장비 제공뿐만 아니라 망통합과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공에도 관여했으며 관리서비스와 네트워크 보증 서비스도 제공했다.



내부자료에서 화웨이는 북한이나 이란, 시리아 등 국제사회의 제재대상국을 직접 거명하는 대신 암호로 부르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을 'A9'으로 지칭하는 식이다. 화웨이 직원들이 쓰는 커뮤니티에는 2008년 고려링크 설립을 돕기 위해 'A9'에서 일하다가 베이징올림픽 때문에 귀국했다는 글도 있으며 로마자를 이용해 북한을 'chaoxian'으로 표기한 대목도 있다.

내부문서에는 고려링크를 사용하는 북한 당국자와 가족에 대한 정탐활동이 이뤄질 수 있다는 데 대한 북한의 우려도 담겨있었다.

2008년 오라스콤과 조선우편통신공사가 서명한 문서에는 "(북한의) 일반 주민은 국제표준의 휴대전화를 쓰고 특별 이용자들은 현지 개발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포함한 휴대전화를 쓸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시험용 암호화 기술은 중국 선전에서 화웨이가 만든 것으로 내부문서에 기록됐다. 선전에는 화웨이 본부가 있으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고려링크 설립 이전인 2006년 1월 방중 당시 이곳을 방문한 바 있다.

화웨이와 판다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힘을 얻던 2016년 상반기에 평양 사무실을 비웠다. 화웨이와 판다 직원들은 수년간 평양 김일성 광장 인근의 비싸지 않은 호텔에서 일했다고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가 전했다.

오라스콤은 2018년 9월 고려링크 운영을 위한 유엔 제재 면제를 받았으며 화웨이의 업그레이드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중단으로 고려링크는 현재 오래된 장비를 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화웨이는 또다른 중국 기업 단둥커화와도 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11월 미 재무부의 대북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회사다.

이같은 내용을 종합해볼 때 미국 부품을 사용해온 화웨이가 북한에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대북제재를 위한 미국의 수출규제를 위반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WP는 지적했다.

또한 서구 각국이 5세대(5G) 이동통신망 구축에 있어 화웨이를 부분적 혹은 전면적으로 배제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깊어지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WP는 특히 이러한 의혹이 미·중 무역협상과 북미 실무협상을 앞둔 시점에 제기됐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각각의 협상에 미칠 영향에 주목했다.

미 상무부는 2016년부터 화웨이와 북한의 연계 가능성을 조사해왔으나 공식적으로 양측을 연결시키지는 않았다. 화웨이는 같은해 북한 등 제재대상국에 미국 기술이 넘어갔는지에 대한 자료제출 요구를 받았으며 북한과의 연계로 미국의 대북제재를 위반한 것으로 파악되면 미 정부로부터 추가 제재나 형사처벌 등을 받을 수 있다.

현직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WP에 "이 모든 것이 화웨이처럼 기업 문화도 그렇고 법을 노골적으로 위반하거나 회피할 의향을 시사하는 여러 사건이 있었던 믿기 어려운 회사에 대해 우리가 갖고 있던 일반적 우려와 들어맞는다"면서 "기본적인 인권을 빼앗는 북한 같은 정권과 일하는 것은 우려를 제기한다"고 말했다.

화웨이는 WP의 코멘트 요청에 "화웨이는 유엔과 미국, 유럽연합의 모든 수출규제와 제재 관련법을 포함해 우리가 진출한 국가와 지역의 모든 법과 규제를 준수하는 데 완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판다는 코멘트를 거부했다.

na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