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성장률 전망 왜 또 내렸나…무역갈등·반도체가격 탓
추경지연·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땐 성장률 추가 하락 우려…日 수출규제도 변수
(세종=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정부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진 미중 무역갈등과 반도체 가격 하락 등을 고려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재차 낮췄다.
정부의 성장률 전망치는 1년 전에 비해 0.3∼0.4%포인트 하향 조정됐지만, 하반기 추가경정예산안 처리가 늦어지거나 주변국과의 무역갈등이 깊어진다면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3일 '2019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정부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2.4∼2.5%다.
정부는 지난해 7월에 올해 경제성장률이 2.8%를 기록할 것이라고 봤지만, 5개월 만에 2.6∼2.7%로 내린 데 이어 이번에 또다시 낮춰 잡았다.
이번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지난해 12월 2.6∼2.7%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때부터 정부는 "단순한 전망치가 아닌 의지가 반영된 숫자"라며 목표치에 가까운 개념으로 소개했다.
여기에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와 수출 부진 등이 이어지면서 시장의 관심은 전망률 하향 여부보다는 하향 폭이 얼마나 되겠는가에 쏠려있었다.
정부는 성장률 하향 결정이 주로 대외적인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 상반기 가장 큰 변수는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였다.
미국과 중국이 긴 무역협상 끝에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서로 관세 폭탄을 매기면서 세계 경제의 불안감이 커졌다.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가까스로 협상이 재개됐지만 언제든지 결렬될 여지가 남아있다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
한국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주력상품인 반도체의 회복세도 더딘 상황이다.
미국의 화웨이(華爲) 거래제한 조치로 PC용 D램 가격은 6개월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3분기에도 두 자릿수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한국 수출은 지난 6월 13.5% 감소하면서, 3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한 바 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대외여건이 크게 악화했고 수출과 투자 부진이 심화한 것을 반영했다"며 "미중 무역갈등이 장기화했으나 앞으로도 불확실성이 있고 반도체 경기 회복도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남기 "투자 반드시 살아나야…세제지원 틀 한시적 보강" / 연합뉴스 (Yonhapnews)
하반기 추경 집행 시기와 세계교역 상황, 수출 여건 등에 따라 성장률이 전망보다 더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우선 추가경정예산안 통과·집행 일정이 관건이다.
정부는 이달 안에 추경이 집행된다는 전제하에 성장률 전망을 한 상태다. 그러나 통과 시점이 다음달로 미뤄지게 되면 추경 집행시기도 지연되면서 성장률에 악영향을 준다.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도 추경이 늦어지면 성장률에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6월 수출동향과 5월 산업활동동향 등 가장 최근까지의 상황과 정책 효과를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했다고는 하지만 일본이 반도체 관련 핵심 소재의 한국에 대한 수출을 규제한다는 지난 1일 발표는 포함되지 않았다.
미중 무역협상이 재차 결렬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도 문제다.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최근 미중 무역협상까지 험로가 남아있어 한국의 수출 상황이 하반기에도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올해 성장률이 2.0%에 그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경제활력 제고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경제전문가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43.1%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의 역점을 '경제활력 제고'에 두어야 한다고 답했다.
경제활력 제고 우선 과제로는 투자 활력 제고(65.8%), 소비 활성화(11.5%), 지역경제 활성화(10.9%) 등이 꼽혔다.
대내외 리스크 관리 과제로는 절반 이상인 55.6%가 미중 통상마찰에 대응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산업 구조조정 대응(19.2%)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규제 샌드박스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35.8%, 신산업 지원에 나서달라는 비율이 20.8%, 4차산업혁명 인재 육성이 19.5%였다.
주관식 조사에서는 전문가들이 기업, 투자, 활성화, 규제 등의 키워드를 여러번 언급했다.
일반국민 1천명은 같은 설문조사에서 경제활력제고(26.9%)와 인구구조 등 미래사회 대비(23.0%)의 필요성을 엇비슷하게 강조했다. 경제활력을 키우려면 지역경제 활성화를, 대내외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꾀해야 한다는 응답도 많았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